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
나카무라 진이치.콘도 마코토 지음, 김보곤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

- 암치료에 목숨걸지 마라 -





암은 우리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이 되어 버렸다. 병원에는 암에 걸린 환자들이 가득하고
하루에도 많은 사람들이 암으로 진단받고 놀란다. 암으로 진단 받은 사람들은 어떻게든 암을 고치기 위해
치료법을 찾거나 바로 치료를 시작한다. 현재 암에 대한 확실한 치료법은 없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암치료에 목숨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에게 그러지 말라고 충고하는 책이
<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이다. 암치료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다가 목숨을
잃게 된다는 사실을 알면 암을 치료하고 싶은 생각이 없어질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병원을 멀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들어보도록 하자.






우선, 책 <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의 저자는 모두 일본인이다. 일본에서는 고형암이 많다고
하는 데 그런 고형암들은 치료가 어렵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많은 일본인들이 암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왔다갔다 하며 고통받는다. 저자는 두 사람으로 둘다 잘못된 암치료들이 만연한 사회분위기를
바로잡기 위해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항암제가 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오히려
병을 키운다는 것이다. 항암제의 독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있다. 치료를 시작하면 머리카락이
빠지고, 정상세포들이 죽는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그 독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저자는 치료 안하면 안됄 것 같다는 그 생각을 버리라고 한다.






이 책은 저자들이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에 대해서 설명하고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고 있다. 특히나 항암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논문들은 조작되었다고 한다. 연락이 되지
않는 환자를 완치되어 연락이 안됀다는 식으로 처리하여 통계를 낸 논문이 있는 것을 보면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암에 걸려도 치료없이 사는 사람들은 예상수명 보다 더 오래 살다가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 한다고 한다. 저자들은 이렇게 가는 것이 오히려 병치료로 고생하다 가는 것보다 낫다고 한다.
암이 고통스러운 병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암을 고통스러운 병으로 사람들이 착각할 정도로
병치료는 고통스럽고 이기기 힘든 것이기 때문이다.






<암에 걸린 채로 행복하게 사는 법>은 의사인 저자들이 의사들을 비난한다. 검진을 부축이고
효과가 없는데도 효과가 있는 것처럼 한다고 하면서 말이다. 저자는 건강검진을 오히려 안받는 것이
오래사는 길이라고 한다. 또 죽음이 찾아왔을 땐 죽음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고 한다.
억지로 저항하려 한다는 것은 오히려 수명을 단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의 솔직하고 정직함에 감사한다. 현대의학의 단점과 약점을 의사의 입장에서
콕콕 찝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의사들의 말을 맹목적으로 따르기도 하는 데
이 책을 통해서 그런 태도를 바꾸길 바란다. 올바르게 세상을 바라보고
실수하지 않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