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우주라는 미친 생각은 어떻게 상식이 되었는가 - 패러다임을 뒤흔든 논쟁의 과학사
토비아스 휘르터 외 지음, 김희상 옮김 / 알마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평행우주라는 미친 생각은 어떻게 상식이 되었는가] 

 

- 논쟁의 과학사 -





우리 은하에 대해서 많이들 들어봤을 것 같다. 우리 은하는 우주에 존재하는 은하중
하나로 우리의 지구가 존재하고 있는 은하계이다. 은하계는 이 세상에 아주 많고 우리 은하는
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우주는 미친듯이 넓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평행은하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평행우주라는 미친 생각은 어떻게 상식이 되었는가>라는 책을 접하기 전에 사실
나는 평행우주라는 개념을 잘 몰랐고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우주에 관심이 많은
나이기에 <평행우주라는 미친 생각은 어떻게 상식이 되었는가>를 읽어보기로 하였다.





평행우주라는 개념은 다중우주이론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즉 우주가 여러개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과거에 많은 과학자들은 그들이 사실이라고 믿는 것들이 주류의 생각이 아니라서 배척당했다.
과학이란 주류의 믿음으로 인해 페러다임이라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옳고 그를 수도 있으나 정치적 사회적요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중우주이론은 처음부터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은 이론이 아니다. 몇몇
사실이라고 믿는 과학자들에 의해 주장이 나오게 되었고, 지금은 그나마 그 이론이
퍼져가면서 이 이론이 사실인지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고 있는 단계라고 하겠다. 







아직 우주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많은 사실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그 사실들을 밝히려 노력하지만
여전히 우주는 우리에게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다중우주라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이미
주장되어 왔지만 밝혀진 것은 많지 않았다. 계속해서 많은 과학자들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빅뱅이론 같이 새로운 이론들을 주장하게 되면서 평행우주라는
개념이 많이 알려지게 되고 여러 난관에 부딫이게 된 것이다.
과학은 계속해서 발전해 온 것만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지동설도 처음에는 그 빛을
발하지 못했던 것처럼 숱한 우여곡절을 겪어온 것이다. 





복수의 우주라는 개념. 사람들은 그 개념을 이제 받아들이기 시작한 듯하다.
페러다임이 바뀌어 온것처럼 앞으로도 바뀔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논 채로
오늘날도 과학자들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우주라는 존재와 신의 관계. 이 관계도 아직 밝혀진 것이 많이 없다. 하지만 우리가
우주라는 비밀을 벗기고 알아냄에 따라 이 관계도 발전하고 많은 사실들을 보여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