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이라는 거짓말 - 직장인 1만 명의 행동평가를 통해 도출해낸 인재 보고서
오쿠야마 노리아키.이노우에 겐이치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새로운현재(메가스터디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스펙이라는 거짓말] 

 

-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인재들의 숨은 공통점 - 

 

 


 

 

우리나라 기업들은 직원을 뽑을 때 아직까지 스펙을 보는 경향이 있다. 아예 스펙을 보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거짓말일 것이나, 스펙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업무력이다.

업무력이 스펙처럼 발견해내기 쉬운 요소라면 좋겠지만 업무력이 강한 사람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책<스펙이라는 거짓말>은 스펙이 업무력에 대해 말해주지 않는다고 말하며 숨은 인재의 특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인재는 그럼 어떤 사람일지 궁금하지 않은가? 

<스펙이라는 거짓말>을 통해서 그런 인재는 어떨지 알아볼 수 있다. 








이 책을 지은이는 오쿠야마 노리아키, 이노우에 겐이치로이다. 일본 저자로 인재 평가에 대해 빠삭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인재의 중요성을 느끼면서 이 책을 쓰게 되었고, 결론적으로 인재평가X경영X취업이라는 데이터로 
인재보고서를 내게 된 것이다. 우선 저자는 일 잘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네가지 능력이 있다고 한다.
1. 사고하는 힘 =  개념화 능력
2. 조직을 위해 움직이는 힘 = 성과 관리 능력
3. 의욕을 높이는 힘 = 내부 강화 능력
4. 많은 정보를 모으는 힘 = 외부 수용 능력
이런 능력은 스펙과 큰 상관이 없을 수 있다. 즉, 스펙이 좋은 사람이라고 일을 다 잘하는 것은 아니다.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은 위에 언급한 4가지 유능한 사원이 갖고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개념화 능력은 이론 구축을 잘 하고 문제 해결을 실천하도록 한다고 한다. 
성과관리 능력은 조직을 위해 움직이도록
사명감을 확립하고 성과 획득을 위해서 움직이도록 한다. 
내부 강화능력은 자립심을 갖고, 높은 곳을 향하도록하며,
고난을 이겨내도록 돕는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외부 수용능력은 외부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축하여 생산적인 사고로 연결한다고 한다. 
이 네가지 능력을 고루 갖춘 사람을 찾는 다면 좋겠지만 이것을 다 갖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이것들 중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꼽자면 사고와 의식이 강한 것이라 하겠다.






경험과 지식 X 업무력 = 생산성
이 공식을 통해서 알 수있는 것이 무엇일까? 경험과 지식은 소위 우리가 말하는 스펙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업무력이 없다면 스팩은 생산성을 낼 수가 없다. 그래서 업무력이 있는 사람을 뽑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럼 회사는 인재를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저자가 제안하는 것은 머리가 깨질 정도로 생각을 하는
극한 상황을 만들어 주라는 것이다. 그만큼 생각을 많이 하면 숨어있는 잠재력이 발휘되고, 개념화 능력으로
좋은 아이디어, 영감이 실행력으로 발휘 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인재를 키울 때는 편하게 놔두지 말라고 한다. 인재의 숨은 능력은 그 힘을 써야할 상황이 있어야
발휘되기 때문에 벼랑 끝과 같은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 주라는 것이다. 





 

 

 <스펙이라는 거짓말>은 인재를 뽑으려는 사람에게나 인재가 되고 싶은 사람 모두에게 유용한 책이다.

회사의 운명을 바꿀 인재가 되고 싶다면, 혹은 그런 사람을 찾는다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강력 추천한다. 강력한 인재보고서로 많은 공감을 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