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나에게 있다
니컬러스 게이턴 지음, 문세원 옮김 / 라이프맵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행복은 나에게 있다]

- 행복에 대한 자기만의 해답 -






우리는 행복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할 수 있다. 티비에서건 신문에서건 행복이라는 단어가 적절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남발하고 있는 현실을 보면 말이다. 정작 행복함을 느끼는 사람은 많지 않기도 한데 왜 그렇게 그 단어에 집착할까?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는 것이 이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들 하니까 그런가 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 목표라고 굳이 말로 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본능적으로 느끼고 싶어한다.
행복을 찾아 헤매는 많은 사람을 위한 지침서로 <행복은 나에게 있다>는 행복을 찾는
나는 과연 행복한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을 찾게 도와준다.







저자는 니컬러스 게이턴으로 영문학을 전공하였고 중세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행복에
굉장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많은 사람에게 행복하냐고 물었고 결국엔 나는 과연 행복한가? 라는 질문으로
연구를 계속했다. 이 책은 행복으로가는 10가지 단계를 설명하는 책은 아니지만 우리가 찾는
행복에 대한 답으로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우리의 삶은 과거보다 훨씬 나아졌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더 행복해졌다는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많은 사람이 돈을 가지면 행복해 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돈은 행복의 일부분을 차지할 뿐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행복과 관련된 것들은 무엇일까?








우선 저자는 행복을 이루는 다섯가지 핵심요소를 살펴본다.
이는 행복과 돈, 행복과 일, 행복과 종교 그리고 신, 행복과 인간관계, 행복과 라이프사이클이다.
이 다섯가지 요소들은 행복과 관련이 깊기는 하지만 행복을 전부 가져다 줄 수 있는 것들은 아니다.
행복의 정의도 다양하고 느끼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이다. 또 우리의 삶은 항상 행복한 것들로만 차있지는 않다.
슬픔도 있고, 절망도 있고, 행복이 있으면 그 반대도 있어 한 사이클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행복상자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행복이 농축된 당신의 역사를 대표할 만한 것들을 모아 놓은
상자를 말하는 것이다. 거기에는 말, 사건, 행동 사진 등 다양한 것들을 담을 수 있고 기억할 수 있다.
이는 행복을 저축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한다. 행복했던 순간들을 대체할 수 있는 것들을 금고에 넣어
힘들 때 꺼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저자는 행복을 찾은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행복했던 사람들은 과연 어땠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행복을 느낀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실로 굉장하기에 아인슈타인, 캐서린 햅번,
월트 디즈니, 존 키츠, 달라이 라마의 삶을 살펴본다. 아인슈타인은 과학과 사랑에 빠진 사람이었다.
그는 일반인이었다기 보다는 행복한 천재로 연구를 굉장히 아꼈다. 연구 때문에 아들들도 돌보지 않았던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몸담았던 과학에서 사랑을 찾았고 행복을 느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지만 멀리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럴때는 행복상자를 보라고 한다.
그러면 긍정적인 마음이 솓아날 것이라고 한다. 즉, 행복은 긍정적인 태도에 달려있는 것이다.
캐서린 햅번은 죽을 때도 행복하게 죽었다. 그녀가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세상을 아름답게 보는 눈이 있었던 것이다.
<행복은 나에게 있다>는 제목처럼 행복은 누가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한 것이지
남이 어떻게 볼까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