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내려놓으면 좀 더 행복해진다
존 레인 지음, 박인기 옮김 / 단한권의책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조금 내려놓으면 좀 더 행복해진다]


- 작은 것에 만족하자 -





요즘 사회에서는 내려놓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다다익선이라고 더 많으면 많았지 더 적은 건 안됀다는 식이다. 먹을 것도 많으면 좋고, 옷도 많이 쌓아 두면 좋고... 과거 보다 더 풍요로워졌다고는 하지만 사람들의 마음은 아직도 빈곤하다. 행복지수가 그리 높지 않은 현실을 보면 사람들의 눈이 높아진 건 만은 분명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이 과거에 비해서는 좋아졌으나 지금 잘 사는 사람에 비해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걸까? 남이 잘되면 배아프다 라는 속담도 다 그런 의미에서 나온 듯하다. 책 <조금 내려놓으면 좀 더 행복해진다>는 행복에 관한 이야기다. 제목 그대로 내려놓는 삶이 행복을 가져온다는 말이다. 누구나 알 법한 말이지만이 책은  과거에 행복에 대해 논의했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어 흥미롭다. 






작자는 존 레인으로 화가, 교육자, 겸 작가이다. 여러 분야에서 활약해서 그런지 예술, 역사, 종교 등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소박한 삶을 중요시하고 있는 저자는 소박한 삶이 결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 기원 전부터 논의 되어오던 것이 바로 그것이나 그와 반대되는 삶은 살고 있는 것이 우리다. 예전에는 아무것도 없이 데이트를 해도 즐거웠다고 하지만 현재는 멋진 차없이, 맛있는 음식 없이는 행복한 데이트를 즐길 수 없다고 한다. 이것이 변화요 욕심인 것이다. 소박한 삶을 옹호한다면 이런 사치는 필요없을 것이다. 하지만 요즘 젊은 사람들치고 사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불교, 힌두교, 도교뿐 아니라 그 흔한 기독교 등 여러 종교들은 모두 물질적인 삶의 조절을 중요시 해왔고 그것을 반영하는 것이 소박한 삶이다. 일본의 선불교는 절제를 하는 삶을 중요시 한다고 한다. 일본인들이 소식하고 조금쓰고 오래사는 것도 이런 절제가 몸에 배여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조금 만 적게 쓴다는 것, 내려놓는 다는 것이 그러면 왜 어려울까?  여기에는 많은 방해물들이 존재한다. 우리가 돈으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 시대의 흐름에 뒤져서는 안된다는 생각, 도시에서 꼭 살아야 한다는 생각, 많이 쓰고 많이 벌자는 생각 등 다양한 생각들이 우리를 방해한다.






결론은 소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우리의 생활 방식과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검소함을 몸에 베게 하고, 신념을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행복하기 위해서 사는 것이지 우리가 불행하기 위해서 사는 것은 아니다. 바쁜 삶으로 힘들고 지친다면 그런 삶을 버리면 되는 것이다. 많이 번다고 항상 행복한 것은 아니다. 때로는 남을 돕고 배푸는 것이 행복한 것으로 행복은 부산물로 찾아 올 때도 있는 것이다. 

행복하고 싶다면 생각을 바꾸라는 말을 이 책 외에도 많이 들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기도 하지만 실천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 책은 조목조목 우리의 생활 속에서 생각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한계 설정하기, 신중하게 소비하기, 긍정적인 마음 갖기 등등  간단한 것으로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쉬워보인다.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 되면 쉽게 가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