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심리학 - 마음을 컨트롤하는 소리의 기술 만사형통 萬事亨通 시리즈 4
사이토 히로시 지음, 이소담 옮김 / 스카이출판사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음악이 우리의 삶에서 어떤 역할을 맡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현재 우리의 삶은 음악과 땔래야 땔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티비 프로그램과 영화에서 음악은 분위기를 고조하거나 띄우는 역할을 하고, 길거리에서 음악은 우리의 흥을 북돋아 즐거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책<음악 심리학>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음악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그리고 음악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해 놓았다. 이 책을 통해서라면 음악이 우리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우선, 음악이 왜 필요했는지 부터 살펴보자. 음악은 과거에 이성을 끌어당기는, 쾌락을 충족시키는 한 수단이었다. 사냥을 나갈때 사냥을 잘 하게 해달라는 주술의 의미로, 또 잔치를 열때는 분위기를 돋우는 존재로 음악은 빠지지 않았다. 이렇게 시작된 음악은 결속력을 단단히 해주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이것보다 더 나아가 음악은 꿈을 이루어 주는 존재이다. 음악은 뇌를 자극하여 인간의 감정을 풍부하게 해주며 어떤 행동을 하게 할지를 조절할 수 있다. 음악을 들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은 우리의 기분을 좋게 하고 일반 약물보다도 훨씬 효과가 좋아 그 어느 약물보다도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클레식은 아주 잘 짜여진 음악이다. 훌륭한 음악가들이 그 구성을 예상가능하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클레식을 많이 들으면 사고력이 좋아진다는 것이 그 틀에 따라 생각을 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또 깊은 생각을 하게 도와주기 때문에 클레식은 아주 유익하다. 전자 음악들도 물론 훌륭하지만 그런 음들보다는 생음악이 더 듣기 좋다.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스트레스를 가라 앉히는 소리들이기 때문이다. 음악에는 무의식적으로 인간의 감정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고 한다. 그 힘을 잘 이용한다면 우리는 다방면에서 효율적으로 일하거나 활동하거나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음식점이나 레스토랑에서 음악을 틀어놓는 이유도 손님들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이다. 예를 들면 레스토랑에서는 재즈를 트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 다양한 손님이 오는 곳이기 때문에 특별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보다 중성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다양한 손님에게 적절하기 때문이다. 음악은 이 외에도 속도, 조성, 소리 등으로 분위기 조절 뿐 아니라 노동자의 생산력도 조절 가능하다고 한다. 음악은 우리의 심리를 조절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성공하는 길이라 하겠다. <음악 심리학>을 통해 행동을 바꾸는 음악에 대해 배워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