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이유 - 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에서 임플란트까지
허현회 지음 / 맛있는책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사람이 병으로 고통받는 시대이다.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질병에 걸린 사람도 점점 많아지고 병원에 가는 사람도 많아진다. 암을 비롯한 현대 병이 난무하는 이런 사회에서 병원에 가지 말라니...<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이유>라는 제목을 보고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그 이유가 궁금해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당신은 지금 속고 있다'는 부재도 뭔가 자극적이었다.

저자는 제목에서도 유추 할 수 있듯이 현대의학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현대 의학은 겉으로는 병을 고쳐준다는 식으로 발전해왔지만 실제로는 죽음을 앞당긴다고 하고 있다. 필요없는 수술을 권하고, 수술 성공률을 조작하며, 조기 검진을 부축이고, 수술로 별 큰 병 없는 사람도 죽어가고 있다고 한다. 물론 이기적이고 돈만 아는 몇몇 의사들은 그랬을지 모른다. 사람의 목숨을 하찮게 보고 자기이익 챙기는 데만 급급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생각이 좀 다르다. 많은 의사들은 사명감을 가지고 열심히 진료를 하고 수술에 나선다고 생각한다.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더 조심스러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현대의학이 몇몇 부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그 부정적인 면들이 긍정적인 면을 덮어버릴 정도로 많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현대의학 초기에는 우리가 잘 모르는 것이 많았기에 실수도 꽤 있었다. 예를 들면 도덕적 윤리적 기준이 없었던 옛날에는 사람에게 임상시험을 하는 것이 꺼림칙 했으나 잘못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사람들의 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그런 기준이 생기고 법적인 재제까지도 생기게 되었다. 또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는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고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게 되는 것이다. 현대의학은 아직 진행중이기에 완벽하지 못한 것 뿐이지 나쁜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글쓴이의 의견에 공감하는 것 중 하나는 우리의 다이어트가 우리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생야채, 붉은 고기, 생선 등 건강한 식품이 건강한 몸을 만든다는 것이다. 우리가 먹는 식품이 궁극적으로는 우리를 구성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것이다. 내가 아는 지인도 잘 먹는 것으로 새 삶을 살고 있다. 죽어서 의사도 손 쓸 수 없다고 했던 그 사람이, 골고루 건강식으로 섭취하여 몸을 거의 완전히 회복했다. 먹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주었다. 

현대의학의 나쁜 점만을 꼬집을 것이 아니라 그것이 바로잡힐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잘못된 것이 있다면 지금 바로잡으면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