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 700년 역사에서 찾은 7가지 혁신 키워드
스티븐 존슨 지음, 서영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탁월한 아이디어를 탐낸다. 그런 생각이 우리의 삶을 좀더 편하게 만들어 주고, 또 더 나아가서는 많은 부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탁월한 발상을 하기란 쉽지않다. 이 책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는 아이디어의 근원을 파헤치고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생각이 우리의 삶에 적용이 되는 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700년 역사 속에서 찾아볼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들, 그리고 순식간에 사라지기도 하는 아이디어들을 통해 탁월한 아이디어의 7가지 혁신 키워드를 알려주고 있다.


그 혁식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인접가능으로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라고 한다. 책에 따르면 시골에서보다 도시에서 더 훌륭하고 많은 혁신이 발생한다고 한다. 왜 그럴까? 도시에서는 인접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람이 많고 그만큼 사건도 많기 때문이다. 둘째는 유동적인 네트워크로 자유로운 공간에서 넘치는 정보를 공유하라고 한다. 위대한 발견은 혼자 현미경을 들여다 볼때 보다 여러 사람이 생각을 나눌 때 더 나타난다고 한다. 셋째는 느린 예감으로 천천히 진화하여 새로운 연결을 만들라고 한다. 예감 또는 직감은 갑자기 찾아온다. 그러나 이것들을 적어 놓지 않는다면 우리는 잊어버릴 것이다. 그래서 메모하라고 한다. 기록을 통해 새로운 연결을 하라고 한다. 넷째는 뜻밖의 발견으로 예감 속에서 연관성을 찾아내라고 한다. 아이디어는 뜻밖의 방식으로 다른 아이디어와 연결 될 때 혁신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다섯째는 실수로 잡음과 오염을 탐구하라고 한다. 틀렸을 때 우리는 우리가 생각했던 결과에 재도전 하게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섯째는 굴절적응으로 문 뒤에 숨은 가능성을 상상하라고 한다. 굴절적응은 한가지에 사용될 수 있는 도구가 다른 맥락에서 다른 방법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쓰임새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다. 일곱째는 플랫폼으로 생산적으로 충돌하고 다시 결합하라고 한다. 오래된 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것을 찾으라고 한다.


이 7가지 키워드들은 탁월한 아이디어들을 불러오는 것들이다. 이런 패턴 속에서 우리는 그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아직도 이 세상에는 탁월한 아이디어가 많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이 책을 통해 그 생각들이 우리의 삶에 잘 적용되고 많은 사람들이 그 혜택을 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