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
데이비드 디살보 지음, 이은진 옮김 / 모멘텀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결심은 뇌에서 내리는 것인데 왜 뇌가 왜 비웃을까?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떠올린 궁금증이다. 우리의 결심을 뇌가 못하게 막는 다는 것일까? 그렇다. 우리의 결심이 오래 가려면 굳은 의지와 목표의식이 있어야한다. 하지만 뇌는 예전일을 자꾸 떠올리게 하고 우리가 익숙한 것에 안주하게 하려한다. 기분 좋지 않은 생각 때문에 괴로워 해본적이 있는가? 후회 때문에 가슴앓이 해본적이 있는가? 모든 사람은 이런 것들을 경험한다. 이런 예들은 기분 나쁜 생각들이 우리의 뇌에 자리잡으려는 성향을 잘 보여준다. 이런 뇌의 반추하는 습성 때문에 우리는 뇌를 극복하는 법을 배워야하는 것이다. 필자는 뇌의 진실을 알려주면서 여러 과학적인 근거를 댄다. 이책은 자기 계발서가 아니고 뇌 계발서인 것이다.



필자는 이렇게 말한다. 뇌는 무언가에 도전하는 것보다 순응할 때 행복함을 느낀다고... 그래서 그런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말이다. 나도 이것을 느꼈다. 우리집은 어렸을 때 이사를 좀 다녔었는데 나는 그때 마다 싫었다. 새로운 친구, 새로운 동네, 새로운 학교... 그때는 그냥 아무 이유없이 싫었었는데... 지금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보니 그것이 다 뇌가 싫어하는, 하나의 도전이라서 그랬던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불확실하고, 어두워 보이는 미래이기에 현재의 것이 좋고 확실한 것에 안착하려는 것이다. 이 뿐아니라 위험을 피하고 방어하려는 기질 때문에 현재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는 것도 있는 것이다. 



이것을 시작으로 필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뇌에 대한 환상을 깨준다. 뇌는 발전적이고, 치밀할 것이고, 성실할 것이고, 주도적이며, 스마트할 것이라는 환상을 말이다. 뇌는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안주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반추하도록 하며, 선천적으로 의욕이 없고, 남의 눈치를 많이 보며, 잘 잊어버린다. 인생이라는 여행을 잘 마치기 위해 뇌는 우리가 극복해야할 대상이다. 이 책에는 어떻게 뇌를 극복하는 지에 대한 해답이 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을 예로 삼고 있기에 더 친근히 다가온다. 내가 무능력하고 멍청하고 후회를 많이 한다고 생각된다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끄덕끄덕 공감할 것이고, 나아가 그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