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화와 칼
루스 베네딕트 지음, 박규태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2월
평점 :
http://blog.naver.com/ksh387/20115119513
국화와 칼은 루스 베네딕트라는 걸출한 문화 인류학자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에 대해서 기술한 책이다. 이 책은 일본 연구에 대해 고전으로 불리고 있으며 심지어 어떤 이는 국화와 칼 이후 나온 모든 일본 연구서는 국화와 칼에 대한 주석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 책은 일본 문화의 중요한 체계를 이루는 기리(의리), 기무(의무), 닌죠(인정), 하지(수치)를 최초로 개념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일본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이 평가는 결코 과장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사실 이 책은 일본 연구의 고전, 텍스트북이라고 불릴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자신과 전력은 거의 비슷하면서 임전태세는 기존에 맞섰던 상대가 확연히 달랐던 일본의 행동을 예측하고자 베네딕트를 차출해서 보고서를 작성을 지시했다. 당시 베네딕트는 문화인류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 기법인 현지 조사를 하지 않고 각종 문헌과 미국에 있는 일본인 및 일본인 포로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 책을 완성시켰는데, 간접 체험만으로 이 정도의 결과가 나왔다는 점에서 베네딕트의 놀라운 통찰력을 볼 수 있다. 이때 완성한 보고서가 '일본인의 행동패턴'이며 '국화와 칼'은 전후 이를 더욱 보완하여 나온 책이다.
미국은 일본과의 전투 승리 이후 전후 처리 문제에서 베네딕트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여 일본을 관리했다. 일본인들의 기무(의무) 관점에서 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일본인의 심리에 깊숙히 자리 잡고 있는 계층적 위계질서의 최상층인 천황제를 폐지하지 않고, 이를 전범으로 몰아세우지 않은 것, 미군정이 전권을 행사한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일본 행정조직을 그대로 살린 것이 그 결과이다. 이는 천황의 항복 선언이 있자 죽창으로라도 돌격하여 황은에 보답하고자 하는 군인이었던 일본인이 바로 순종적인 민간인으로 돌아갔던 양상을 정확히 짚어낸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협조적인 일본 행정조직을 통해 미국은 최소의 비용으로 패전 후 일본을 관리할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문화인류학은 순수하게 한 민족 혹은 혈족의 문화를 상세히 기술하여 상대론적 관점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히는 학문일 수도 있지만 이 역시 심리학 등과 마찬가지로 국가의 정책과 전쟁에 놀라울 만큼 강한 영향력을 끼치는 학문임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또한, 심리학에서도 그랬지만 자신이 가진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가공할 물적, 인적 파괴력으로 효율적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가진, 인류 역사상 진정한 초강대국인 미국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일본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 하다못해 일본으로 여행을 가려고 하는 사람들도 일단 이 책을 한번 일독한 다음 여행을 떠나보는 것이 어떨까 한다. 여러 번역서가 나왔지만 그 중에 한국에서 최고 일본전문가인 박규태 씨의 번역으로 나온 문예출판사 본을 추천한다. (별외로 국화와 칼의 번역본이 많은 이유는 베네딕트 사후 50년이 지나 국화와 칼의 저작권이 소멸되고 자유 이용이 가능한 텍스트기 때문에 판권료 지급 없이 출간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