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크 - 한쪽 눈만 뜨고 학교에서 살아남기 미래주니어노블 12
롭 해럴 지음, 허진 옮김 / 밝은미래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마음이 쿵~하고 떨어진다.

부제는 한쪽 눈만 뜨고 학교에서 살아남기의 『윙크』는 작가의 실화를 바탕으로 그린 이야기로 한쪽 눈에 생긴 희귀암을 치료하며 겪게 되는 내면의 갈등, 성장, 친구들과의 관계, 우정등을 진한 감동으로 만나게 한다.

 

주인공인 로스는 7학년으로 평범한 학생이었지만, 한쪽 눈에 생긴 희귀암으로 인해 평범함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하게 된다.

처음 조직검사 결과를 듣던 날, 방사선 치료가 진행되면 아프지 않은 눈 까지 방사선에 영향을 받아 시력 손실을 유발할거라는 이야기까지 듣게 되지만, 두 눈을 다 지킬 수 있는(아픈 눈은 시력을 잃게 된다) 똑똑한 선생님인 스록튼 선생님을 소개 받고 양성자 치료를 받게 된다.

최악의 상황까지 환자에게 알려야 하는 의무를 가진 의료진의 마음, 그리고 그 모든것이 몰래 카메라였으면 좋겠다는 로스의 마음에 담긴 진심이 전해지며 마음이 아팠다. 자신의 암을 우가우가 싸라싸라 짭짭 암이라며 무시무시한 놈같다는 고백은 그 나이 그대로의 표현이었고, 그 마음을 숨김없이 가장 친한 친구인 애비에게 털어놓는 장면은 로스와 애비가 만들어가는 우정의 아름다움에 대해 기대하게 만들었다.

 


 

 

로스가 암이라는 것도, 그것도 희귀한 암이며 직접적으로 보이게 되는 얼굴쪽에 있기에 누구나 알게 되는 상황이어서 발생하게 되는 학교에서의 일은 당황스러웠지만 로스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지혜롭고 슬기롭게 이겨낸다.

그 곁에 분명 로스와 함께 하는 친구가 있었고 그것이 큰 힘이 되었으리라는 것은 명백하다.

하지만 아이들이 만들어낸 밈들은 아이들 스스로도 너무 큰 충격과 걱정 두려움을 잘못된 방식으로 표현했던 것 같다.

함께 지냈던 친구가 암에 걸렸다는 것 자체가 충격이었을테고 그거을 진심으로 설명해주며 알려주지 않았기에 잘못된 방식으로 표출된것이 아닐까, 그래서 로스에게도 그것을 만들어 전달한 아이들에게도 상처가 된것이 아닐까...

(이 부분은 아이삭의 고백에서 헉~하며 깨닫게 된 부분이다.)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되면서 만나게 되는 방사선사 선생님인 프랭크가 전하는 긍정적인 기운은 로스에게 큰 힘이 되어준다.

그리고 프랭크와 한 밴드인 데니의 동생 지미와의 우연한 만남, 그 때 배우게 된 기타.

지미와 애비와 함께 한 밴드는 로스를 성장시킨다.

 


 

 

순간 순간 찾아오는 무서운 생각의 폭풍때문에 두려워하지만 그것을 솔직하게 내어놓고 위로받는 모습이 의미있게 다가왔다.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은 솔직한 내면의 생각들이 가감없이 어린이가 가지는 마음 그대로 표현되고 있는데, 더 특별하게 피그맨 툰으로 로스가 연재하는 만화로 다시한 번 유쾌하지만 뼈있게 되짚어 준다는 것이다.

아이들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이슈들에 누군가는 위로받고 누군가는 뜨끔하게 한다.

 

 


 

 

"로스 ,만약에 말이야. 모든 사람이 다 완벽하게 정상이라면 어떨 것 같아?

혹시 그런 생각 해 본 적 없니? 네가 나에게 묻는다면 난 진짜 지루할 거야라고 대답하겠어 "

...

"하지만 다르다는 건 말이야. 완전히 세상을 다르게 해.

다르다는 건 변화를 만들어 내지. 다르다는 건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내.

다름에는 힘이 있어."

p230

 

로스를 동전투입기라고 부르는 할아버지와의 우연한 듯하지만 전혀 우연이 아닌 만남, 그리고 할아버지의 진정한 응원과 진심어린 조언,

로스가 겪은 속상하고 속상했던 일들을 프랭크에게 토해내듯 말했던 로스, 그리고 그런 로스의 말을 듣고 '다 엿 먹여 버려!'라고 말하고 싶다는 프랭크의 한마디는 내게도 큰 위로였으니, 로스에겐 얼마나 큰 힘이 되었을까.

 

"삶이 최악일 떄가 있어. 지옥만큼 견디기 힘들 때가 있지. 그럴 떄 할 수 있는 일은 견디는 것뿐이야.

그리고 사랑하는 것들만 생가하는 게 최선이야.

꽉 붙잡아. 두 손으로."

p256

 


 

 

누구나가 짊어지고 갈 돌덩이를 설명하며 혼자 짊어지지 않고 누군가와 나눠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아빠의 진심을 로스가 밴드 연주로 완벽히 이해했음을 보여주었을 때, 나도 모르게 눈물이 또르륵 흘러내렸다.

경험해 보지 않은 고통과 좌절, 상실과 걱정에 스스로가 만들어낸 한줄기 빛과 소중한 우정들이 로스에게 마법을 일으킨 것 같았다.

이야기가 시작되고 로스에게 애비가 어떤 친구인지 알게 될 무렵 듣게 된 애비의 이사소식이 아쉽고 아쉬웠는데, 하늘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소중하고 경이로운 선물을 주는 것 같다.

애비의 빈자리를 더 크게 채워줄 것 같은 고물 폰을 쓰게 된 귀여운 지미와 로스와의 찐우정이 안봐도 비디오이기에. ㅎㅎㅎ

두렵고 절망적일것만 같은 암이라는 단어가 로스를 만나게 되며 희망이란 단어로 날 이끌었다.

상상이상의 통증과 아픔, 어둠의 시간과 고통의 시간들은 감히 내가 무어라 말할 수 없지만, 괜찮을거란 따뜻한 위로의 말을 로스를 통해 전달받았고 그로 인해 나 또한 감히 전할 수 있을 것 같다.

 

 

 

 

 

 

◀ 해당 글은 밝은세상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고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