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탐정 프랭크 - 신비한 마법 가면과 문서 도난 사건 꿈꾸는 10대를 위한
제러미 쿠비카 지음, 이가영 옮김 / 프리렉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원하는 출력을 유도하여 내는 규칙의 집합.

여러 단계의 유한 집합으로 구성되는데,

각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산을 필요로 한다. <네이버사전출처> 이다.

컴퓨터과학에서 알고리즘을 많이 사용하는데, 알고리즘 탐정 프랭크는

이야기에 알고리즘의 개념들을 넣어 어려운 연산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알고리즘을 알고자 하는 학생에겐 더 없이 좋은 개념 확장서가 될 것 같았고,

알고리즘의 개념에 대해 아직은 버거운 나는,

드레커 교수의 강의 노트는 스킵하고 지나가도 무방할 재미난 이야기였다.

사설탐정으로 일하는 프랭크에게 도너번 경감이 찾아와

경찰서 기록 보관실에 침입해 양피지를 훔쳐간 사건을 의뢰하고,

프랭크는 자신의 특기인 탐색을 통해 정보를 모으기 시작한다.

범인을 잡아야 하는 그들에게 정보는 해결의 열쇠가 되는데,

이때부터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개념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완전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빌리를 찾아나선 프랭크는

빌리로부터 크레녹 농장의 수레에 대해 듣게 되고,

크레녹 농장에서 우연치 않게 갓 졸업한 노테이션 형사를 만나게 된다.


계속되는 수사에 트릭을 풀기 위해 심화되는 알고리즘은 읽는 내내 재미있었다.

경찰들이 사건을 수사하거나 범인을 잡으려 수사망을 좁혀갈때 쓰는 알고리즘해석은

알고리즘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 지식이 없어도 충분히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었다.



수레에 묻은 냄새로 유에스비 항구를 찾고, 그곳에서 수레를 실었던 배를 찾아 항만 일지를 살핀다.

몰래 잠입하여 항만일지를 살펴보며 이진탐색을 해보지만, 비네티에게 들켜 위험해 처한다.

그때 갑자기 날아오는 장어 나무통들로 겨우 위기에서 벗어나는 프랭크와 노테이션 형사.

자신들의 목숨을 구해준 마법사 삭스.

프랭크는 자신의 목숨을 구해주어서였을까?

노테이션 형사를 경계해서였을까?

삭스에 대한 판단이 흐려진건...

쇠반지 교도소의 비밀번호를 찾을때도, 문서를 찾아 길을 찾을때도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제각각 상황에따라 다르게 응용되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다.

하지만 깊이있게 순서대로 알고리즘을 설명하려고 하니 조금은 억지스러운 스토리가

회상이란 이름으로 나오기도 하는데, 크게 이질감이 없었기에 스토리를 해치진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다.


프랭크는 알고리즘 탐색을 통해 정보를 모으며 범인을 추격하고

감옥에 마법사들이 잠입할거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담당 사건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건에서 물러난 노테이션 형사만이 믿을만하다는 확신을 가지고

노테이션 형사와 감옥으로 가서 위장을 한다.

사소한 의심들이 쌓여 삭스가 범인임을 알게 된 프랭크는

가면을 쓰고 나타나 흑마법사를 구하려던 삭스를 잡는데 성공하고

노테이션 형사는 훈장을 받게 된다.

사건 추리에 컴퓨터 과학을 접목하여 알고리즘을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한 점이

무엇보다 돋보인다.

그리고 각 장마다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드레커교수의 경찰 알고리즘 입문 수업」이라는 코너로

보다 자세하고 정확하게 설명해놓아서 확장된 사고를 할 수 있게 도왔다.

스택이나 큐같은 알고리즘은 실생활에서도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알고리즘이어서

아이와 읽고 이야기 나누는데 무리가 없었다.

허나, 초등고학년에게는 스토리만 읽기에도 부담감이 있는건 사실이다.

사건 해결을 위해 계속되어지는 알고리즘 해결들을 이해하기에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토리에 녹아 든 알고리즘덕에 알고리즘에 대한 흥미도와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한다.

컴퓨터 과학을 좋아하고 알고리즘에 대한 관심이 많아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본다면

더 빛을 발할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중,고등학생들에게 더 추천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