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월
존 란체스터 지음, 서현정 옮김 / 서울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정치적 분열 증가로 황폐화된 세계.

기후 변화가 이끈 대격변이 일어난 상황. 그리고 THE WALL.

기후 변화로 인한 황폐화된 세상이 웬지 더 두렵게 느껴진다.

곧 다가올 수 있는 미래 같아서... ㅠ.ㅠ

코로나19로 이미 세상의 변화는 시작되었다. 이전의 그 때로 돌아갈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 나를 더 이끄는 책. THE WALL.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

흉터 같은 사악한 선처럼 보이는 THE WALL

너무도 공허하고, 너무도 무자비하고, 너무도 잔인하게.

벽 안의 생존자들과 바다의 무법자들 상대

인생이 두 갈래, 즉 벽 이전과 벽 이후로 나뉘었다.

그리고 나 카바나는 그 벽을 지키는 경계병으로 벽의 추위에 맞선다.

보이지 않는 두려움의 존재인 상대들로부터 벽을 지키는 자 경계병으로 입소한

카바나로부터 시작한다.



추위 : : : 콘크리트 : : : 바람 : : : 하늘 : : : 바다

'벽에는 억양이 없다'는 경계병들 사이의 말처럼

바다를 바라보고 서 있을 떄, 상대를 감시하며 서 있을 때든, 어디에 서 있을 때는 상관없이

사방이 온통 콘크리트바다바람하늘밖에 없다. p175

쳇바퀴처럼 돌아간다. 벽 위에서의 삶은

그리고 죽음의 전주곡과 같은 추위를 이기려 안간힘을 쓰고

어둠과 보이지 않는 두려움에 자신과의 싸움을 계속해나간다.

주먹맛을 봐야 권투가 뭔지 알 수 있고,

공장에서 교대로 근무해 봐야 일과의 끝을 알리는 종소리가 어떤지 알 수 있고,

완전 군장을 하고 온종일 행군해 봐야 그것이 어떤 건지 알 수 있다.

그러니까 12시간 경계 근무를 서 봐야 벽이 어떤 곳인지 알 수 있다는 뜻이다.

p028

벽에서의 일과가 상상이 되는가?

난 원체 추위에 약한지라, 카바나가 몇십겹의 옷을 껴입고 추위를 이기려 산책을 땀이 나지 않도록 살살하며

어둠뿐인 곳에서 무시무시한 파도소리를 이겨내며 벽을 지키는 상황이 너무도 사실적이어서 무섭기까지 했다.

끝없이 이어지는 벽이 머릿속에 그려지며

두께부터 색깔 그리고 콘크리트의 질감까지 온갖 상상을 다 했더랬다.

상대는 이들의 적이다.

그들은 방어막을 뚫고 노 젓는 보트와 고무보트 그리고 튜브를 타고 2인 1조나 3인 1조의 형태로 침투해온다.

그렇기에 경계병이 있는 것이고, 언제 침투해올지 모르는 극한 두려움의 존재인 상대로부터

영리하게, 사력을 다해서, 무자비하게, 목숨을 걸고 벽안의 세상을 지키려한다.


상대가 공격왔다.

"12초소 공격당함. 상대의 침공, 레드 코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침공했던 상대는 모두 죽음을 당했다.

그래서 바다로 추방당할 사람은 하나도 없다.

(상대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면 경계병들과 관계자들은 바다로 추방을 당하게 된다.)

이번 일로 카바나와 동료들은 포상을 받게 되고, 북쪽인 스코틀랜드로 이동하게 된다.

그곳에서 뜻하지 않은 사건을 맞딱들이면서

카바나와 그의 동료들은 바다로 추방당하게 된다.

또 다른 이야기의 시작 바다.

벽에서의 삶도 평온하진 않았다. 우리가 익숙한 예전것은 이미 익숙한것이 아니다.

과거와 역삭속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가버린지 오래다.

바다의 삶은 어떨까?

바다에 몸을 맡긴지 며칠이 안되면 내 몸안에 절망이 손쓸 수 없을 만큼 목전에 와 있을지도 모른다.

바다로 오기 전의 삶이 현실이고,

여기 바다에서의 삶은 꿈이나 환상이다.

여기는 다음 세상, 저승이다.

p245

표류하며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해적들에게 약탈당하며

가까스로 연인인 히피와 카바사는 보트를 타고 어디론가 떠내려간다.

다시는 빛과 열기를 못 느낄 줄 알았다.

다시는 따뜻함을 못 느낄 줄 알았다.

외로움에 자신을 녹여버린 은둔자인 그가 문을 열어주기 전까지는...

벽과 대조되는 그곳.

그곳에서 또 다른 삶은 시작된다.

책장을 덮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은 걸리지 않았다.

처음이 어렵지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라 어느새 잊어버리고 적응한다.

소설속 주인공 카바나도 그랬다.

코로나19로 방콕생활을 답답하게만 느꼈던 일상은 어느새 이전것이 되고

오히려 그 생활에 익숙해진 나를 발견한다.

이렇듯 어떠한 변화든 무디게 적응해버린 내가 이 후의 올 것만 같은 작품에서와 같은 세계에서

주체적인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람이 아닌,

수동적으로 익숙해져버리는 변화가 없는 사람은 아닐런지...

바다에 몸을 맡기며 끝없는 수평선을 바라보듯 생각은 끝이 없이 이어진다.

카바나와 함께하며 그가 느낀 고민들 그리고 그렇게 된 상황에 대해

이건 이야기일 뿐이야라고 덮어버릴 수만은 없었던 것은

어쩌면 이후의 우리를 이 책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은 아닐까

벽은 춥다.

시간이 흐른다고 해서 그 시간을 헤쳐나간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