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보니, 시간 - 바로 지금에 관한 이야기 33한 프로젝트
이권우 외 지음, 강양구 기획 / 생각의힘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보니시간 #생각의힘 #인문교양 #시간

60.
인간 나이 예순을 기념하기 위한 대담회가 열렸다.
아니, 그런데 이 사람들.
시간에 대해 논하기 시작하네.

‘60‘이라는 수에 무슨 의미가 있죠?

천문학자 이명현 - 의례의 한 형식이죠. .. 달의 움직임에 따라 월이, 해의 움직임에 따라 연이 나왔을 테고요. 또 그 열두 번이 다섯 번 반복되는 60이라는 숫자를 상서롭게 생각했겠죠.

생화학 저공자 이정모 - 내가 예순이 되면 절대로 저런 일은 하지 말아야지 했었죠. ... 우선은 이명현 선생님도 언급했지만 오래 사는 것, 장수가 있는데요.

인문학자 이권우 - 방금 이정모 선생님께서 이야기했듯이, 이 나이까지 살아남았다는 걸 기념하는 동시에 삶이 다시 시작된다는 의미도 있어요.

아, 선생님들. 시작부터 이러기있습니까요?

대체 시간이란 무엇일까?

김상욱 - ‘시간이란 무엇인가?‘ 처럼 본질을 따지는 질문은 물리학의 질문이 아니에요. 물리학은 현상을 놓고서 기술하는 학문이지요. 물리학의 질문은 질량을 잴 수 있는가? 더 중요하게는 예측 가능한가?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사실 뉴턴 이후 물리학자 누구도 ‘시간이 무엇인가?‘를 놓고서 답한 적이 없어요. 뉴턴 이후로 ‘시간‘은 물리학자에게 ‘숫자‘입니다.

이명현 - 공간이 직관적인 데에 반해 시간은 그렇지 않아요. ... 시간 간격이라는 걸 통해 개념화한 겁니다. 그게 과학자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에요.

이정모 - ‘시간이 흐른다‘는 표현이 정말 좋아요. 거의 모든 나라에서 그렇게 표현하지 않나요?

김상욱 - 원래 과거는 존재하지 않아요. 우리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 우리의 기억 같은 것이 과거-현재-미래의 시간이 흐른다는 환상을 줄 뿐이죠.

이명현 - 시계만 봐도 알 수 있어요. 시곗바늘이 하루 주기로 한 바퀴 돌잖아요. 순환하는 시간과 과거-현재-미래로 흘러가는 시간의 개념이 여전히 섞여 있는 것으로보 보이네요.

급기야는 지구의 역사를 논한다. 두둥.
이건 옮길 수가 없어요. 책에서 확인하시기를!!!

표준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유를 아시나요??
솔직히 생각해 본 적 없는데;; 순간 움찔하신 분!!! 거기!! 그래, 거기 당신!!
이 책 꼭 읽고 나서 소감 알려주세요. 댓글. 꼭!!

노동시간. 제대로 짚고넘어가야 할 주제 같아요.
읽기 전에는 그게 뭐, 어때서, 왜? 이랬는데, 우리가 올바른 쪽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답을 해야 할 시간인 것 같아요.
아무래도 <가짜 노동>이란 책도 읽어야 할 것 같아요. 2차 독서 유발하는 책으로 임명합니다.

혹시 영화 <컨택트> 아시나요? 드뇌 빌리브 감독. 테드 창 소설 원작.
미래를 알고 있는 사람이 현재를 산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질문을 던집니다. 주제가 여기까지 왔어요.

150페이지가 안되는 짧은 책인데, 흥미진진한 소설 서너권 정도 읽은 것 같은 기분.
어때요? 정말 진지하게 읽고 댓글 다실 분!!! 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