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의 힘 - 만족 없는 삶에 던지는 21가지 질문
김형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호기심이 있다는 건 인생에 몰입하고 있나는 증거다. - p23
인간에게 망각이란 일종의 생존을 위한 기술이다. 우리는 선택적인 기억을 통해 부정적인 기억을 지우고 미래를 향해 새롭게 나아갈수 있다 그러니 과거는 잊어야 한다. 과거의 실패를 잊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과거의 성공 또한 잊어야 한다. 실패에 대한 감정이 남아 있으면 앞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가볍지 못하다. 사람은 한번 성공한것을 답습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왜 잘됐는지 그 원인을 생각하지 않은 채 무조건 과거의 방식만 반복하려 한다. 그러니 과거의 성공도 잊어야 한다. 과거를 잊어버리되 성공적으로 망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교훈을 얻는것이다. - p20
살면서 철학이 어렵다는 생각을 한적이 없었다. 철학은 인간들이 살면서 필요한 도덕을 잘~정리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어려워!!!!
챕터를 넘어가면 갈수록 어려워서 1~2번정도 다시 읽었다 문제는 한 2~3번 읽었는데도 이해가 안된다는거 ㅠㅠ... 그래서 생각하는것을 멈추고 그냥 책장을 넘기고 있다.
그렇다고 책이 그렇게 어렵지않다. 정의에 대한 부분 빼고. 확신하는건 인생에 대한 챕터에서는 교훈적인 생각을 많이 얻었다는거다.
독서록을 쓰려고 접어논 부분이 정말 많은데 정리가 안될정도로 많다... 허허허
유교에서 말하는 인이란 차별적 사랑이다. 보편적 사랑을 말한 묵자는 [길을 가는 노인도 내 할아버지와 똑같이 대하라고 했다.] 이에 대한 맹자는 [친할아버지도 길에 있는 노인처럼 대하라는 것인가?] 라며 반박했다 - P28
그 철학자들이 같은 철학을 이야기 하고 있으면서, 서로 다른 주장을 한다는게 놀라웠다.
위에 책에서 묵자와 맹자의 이야기에서는 "이?히들 천젠데?" 란 생각을 했다.
이외에도 철학자들이 주고 받은 논쟁들을 볼수 있는데 뭐 이런거 가지고 논쟁을 벌이나 싶은것들도 몇개 있다. 이런 논쟁이 있었으니까 우리가 이만큼의 도덕을 깨우치고 살고 있는게 아닐까 란 생각이 든다.
이로운 것에만 골몰하는 존재는 생명이 짧다. 긴 생명력을 지니려면 자신에게 해로운 것이 무엇인지 늘 생각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에게 이로운 바를 추구하기도 하지만, 수많은 위험을 극복하기위해 노력한 결과 그토록 놀라운 문명을 이루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려면 무엇이 이로운가 뿐만 아니라 무엇이 해로운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P40
예전에 TV프로에서 한 독서스터디는 주로 죽음에 책을 읽고, 토론하는것을 본적이 있다. 왜 저런 칙칙한 주제만 찾아 읽고 있나 생각을 했다. 저런 칙칙한 이야기만 찾아 읽게 되면 우울해 지지 않을까란 생각도 했었다 죽음, 아직은 먼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죽은 후에 대한 이야기, 이처럼 답이 없는 토론이 또 있을까? 이거에 대해 논쟁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답답한가 그나마 다행인건 다른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토론하고 이야기 하고 있다는것였다. 이런생각은 책을 읽고서 내가 뭘 몰랐다는것을 깨달았다.
삶을 살려면,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죽음이 오기전에 더 좋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은 확실하게 박혔다.
그렇다면 나는 더 좋은 삶을 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나?
당신이라면 파트너를 선택할때 저사람하고 거래해서 손해 안본 사람 없다라고 소문난 사람과 거래하겠는가 아니면 저사람하고 거래해서 부자 안된 사람 없다라고 소문난 사람과 거래하겠는가? - P48
일상에서 의도적으로 일탈하여 신선한 감각을 느끼기 위해 우리는 여행을 떠난다. 나 자신을 벗어나면 더 크고 아름다운 세상이 있다 다만 스스로 보지 못할뿐이다.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삶의 관성에 편승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은 없다. - P53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인류의 위대한 스승 소크라테스는 이같이 질문했다. 이는 물론 우리 자신에게 던진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 우리는 많은 지혜로운 사람들을 찾아다닐수 있다. 그러나 최종적인 답은 자신에게서 나와야 한다. - P54
나쁜책 같으니.. 내 스스로 찾으란다. 나는 말을 정말 잘들으니까... 방향을 찾아서 스스로 찾기로 했다 바로 행복을 찾아서!!
행복을 수중에 넣는 유일한 방법은 행복 그 자체를 인생의 목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행복 이외의 어떤 다른 목적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는 일이다.
존 스튜어트 밀
-P58
과정과 결과 모두에 행복이 있다. 어떤 일을 즐기며 할때도 행복하고 그 결과로 성과를 거두었을 때도 행복하다 인간은 죽을때까지 성장하는 존재이며 수많은 과정들을 통해 성숙한다. - P 65
끝이 좋아야 좋은 인생이라고 하지 않는가 평생 최선을 다해 완주하고 후회 없이 세상을 떠날수 있는 삶 나는 좋은 삶을 살다 간다 라고 말할수 있는 삶 어떻게 하면 그렇게 상수 있을까? - P69
새롭게 일을 시작해서 일까? 일에 대한 성취감, 자아성취에 대한 글이 더 많이 보였다.
분명한 것은 일은 돈과 연결되지만 단순한 취미는 돈과 연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어떤 행위를 함으로써 자아실현을 함과 동시에 사회에 이바지할수 있는것 그것이 바로 일이다. - 86
특히 일에 대한 목적에 대한 글이 굉장히 좋았다. 내가왜 디자인일을 시작할려고 했는지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할수 있게 해줬달까
내가 일을 하는 이유는 초, 중,고,대를 지나 당연히 직딩이 되어야 한다는 순서가 정해져 있어서라고 생각했다.
물론! 디자인일을 하게 결정한것은 나고, 그것을 더 잘하고 싶다고 생각한것도 나인데 거기서 더나아가 일을 하는 이유는 생각도 해보지 않았다.
후회하지 않는 삶이 곧 완벽한 삶이라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실수투성이 삶이라 해도 후회하지 않을수는 있다. 니체의 처방전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어린아이처럼 살아라 현재를 즐겨라 카르페디엠 당신의 손안에는 빛깔좋은 사과가 있다 -P 78
인간은 교육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단순한 작업을 완수한 뒤에 더 어려운 작업을 성취하려고 한다 그리고 그 작업에 의미를 부여한다. - P81
회사에 들어오면서 내가 하고 있는 일은 내 미래에 대한 발판이며, 지나가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지 일을 하는 과정에서 자아성취감을 느낀다는 것은 생각도 안했던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다.
생각해 보면 당연한건데...
그다음은 저으이에 대한 챕터였는데 어찌나 어렵던지 오타가 날정도로 어려웠다 (오타는 [정의]...)
그래서.. 아주~~~ 아~~~~주 천천히 읽어 가고 있다 ...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