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은 몸
주원규 지음 / 뜰힘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경에 따르면 태초의 인간이었던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이 금한 선악과를 탐하고 나서 벗은 몸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기 시작했다고 한다. 승민의 벗은 몸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태초의 인간 본연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죄를 범한 인간이 보기에 그 발가벗은 모습은 감춰야 할 수치스러운 민낯에 불과했을 것이다. 

 우리는 어떤 집단에서든지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 짓는다. 심지어는 사회적으로 일컬어지는 비정상인의 집단에서도 보다 더 비정상적인 대상을 만들어낸다. 그 예로, 본 책의 pg 22에서 장애인을 위해 건립된 센터에서조차 장애인 가운데 더 통제하기 힘든 장애를 가진 승민이를 소외시키고 내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종교 집단에서도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 짓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 성격은 조금 다르겠지만 교리대로 행하지 않는 자를 바른 길로 가고 있지 않다고 말하고 '죄'책감이 들게 만든다. 그들은 본인이 믿는 신에게 벌 받기를 두려워하고 신이 기뻐하는 방향으로 살아가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신이 직접 얘기하지 않으니 현실은 신을 많이 공부한 대리인을 통해서 신이 원하는 바를 알게 된다. 그 대리인이 신을 본인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는 경우에 문제가 생긴다. 작가의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의 신도들이 사회적 통념과 모럴에 관한 갈등을 일소하려는 종교(대리인 개인)의 획일적인 해법 아래 통제되고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현재 JMS와 같은 사이비 종교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됨에도 그 믿음을 의심하는 것이 더 죄악이라 여기고 본인이 믿는 잘못된 신의 모습 아래 더 많은 피해자를 양산하는 불상사가 생기고 만다. 

 작가가 소설 속에서 보여준 우리 사회의 단면은 이처럼 모순으로 가득 차있다. 우리는 그 모순 가운데 무엇이 경계해야 할 모습이고 벗은 몸인지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처럼 부끄러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