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모모는 동화책이다. 그런데 뭔 동화책이 그렇게 두껍냐. 사실 동화라고 보기엔 너무 무서운 얘기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요즘 학교를 안가서 읽을 책이 없다. 그래서 동네에 있는 마을문고에 할머니가 있는 풍경을 반납하고 빌린 책이다. 책이 별로 없어서 표지가 예쁘서 빌렸다. 잘 빌린 것 같다. 약간의 판타지와 따뜻함이 있다고 해야하나. 모모의 이야기는 시간을 훔치는 도둑과 시간이 많은 아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시간을 훔치는 도둑. 모모에서는 회색의 무표정한 죽은 자 들이었지만, 우리 생활에서는 우리 스스로가 아닐까 싶다. 달려과 시계로 시간을 잘라놓고 초단위까지, 숨쉬는 시간까지 우리는 모두 아까워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좀 더 빨리 해야하고, 뭐든지 빠르게, 이루어야만 한다. 과정보다는 결과이며, 어떤 얍삽함과 권모술수(아직, 이런 거창한 것은...)가 있더라도 적은 시간에 많은 것을 이루면 성공인 것이다.

남과 같은 시간으로 살아가지만 남의 배의 이상의 돈을 벌고, 유명해지고, 권력이 있는 삶. 나도 그런 삶을 부러워한다. 그러나, 지금도 사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조금 늦더라도 음악을 듣고 책을 보고, 친구들과 즐겁게 대화하고 나를 위해 생각하고 그런 시간들. 그런 시간까지 아까워하고 있지는 않은가. 그런 것도 같다. 사람이 시간을 이끌어가야하는 데, 시간에 구속당하고 있는 것 같다. 모모의 시간의 도둑은 물리칠 수 있는 존재였지만, 내 시간의 도둑은 어떻게 물리쳐야하는 것 일까. 내 안의 시간의 꽃을 잘 키우고 빼앗기지 말아야 겠다. 누가 주인인지 잘 알란 말이다. 동화책이라서 그런지 내용은 쉽고 재미있다. 하지만, 조금 생각하면 섬뜻하다는 느낌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주머니에 담아온 인도
이윤희 지음 / 일빛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어떤 면에서는 꽤 괜찮은 책이다. 인도의 유물들에 관한 역사 자료가 풍부해서 인도 여행갈 때나, 인도의 역사를 가볍게 읽고 싶다면 한번쯤 읽어봐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정말 짜증난다. 내가 짜증나는 이유를 이제부터 나열하겠다. 우선, 글발이 딸린다. 인도 유물의 아름다움이라든가, 인도의 거리풍경에 대한 묘사는 잘해야 글 못쓰는 중학생 수준이랄까. 여행기를 읽으면 그 공간에 대한 느낌이 다가와야 하는데, 그런 것이 없다. 그저 자료만 풍부할 뿐이다.

말이 여행기지, 어설픈 인도 역사책에 불과하다. 그리고 두번째. 이것이 내가 이 책에 대해 짜증내는 가장 큰이유인데, 인도에 대한 애정이 2%도 없다. 나는 심지어 이 사람 책 쓸라고 인도 간 거 아냐? 하고 느끼기까지 했다. 여행을 많이 하신 분이라 다른 여행지와 비교를 간간히 한다. 그래, 그것까지는 좋다. 그러나, 인도의 열악한 환경을 유럽과 비교하고 인도의 여행을 그 자체로 사랑하지 않고 유럽의 안락한 여행이기를 바란다.

이 사람은 인도의 생활을 동등한 입장에서 바라보지 않고 위에서 내려다 보는 듯이 바라본다. 그래, 이방인이니까 그럴 수도 있겠지. 그치만, 자신의 입장에 자신이 없는 듯 간간히, 그래도 행복해보이는 얼굴이었다는 식의 표현이 건성으로 들어간 건 뭐냐. 유물에 대한 관점도 그렇다. 맨 역사책 배껴놓은 듯한 설명만 잔뜩하고 자신의 생각은 아름다웠다 밖에 없는 책. 사학과니까 그러려니 해도, 그럼 기행문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말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가 있는 풍경
이혜리 지음, 홍현숙 옮김 / 디자인하우스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100% 미국인으로 살아온 재미교포 1.5세의 작가가 쓴 한국 역사 소설(?)이다. 그래서 나는 '절대 한국을 이해하지 못하는 눈으로 쓰여진 한국을 소재로 한 소설'이라고 말하고 싶다. 뭐, 그 사람은 미국 독자를 대상으로 해서 쓴 소설일 테니까. 우리 문학을 정의내릴 때 '한국 사람이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를 우리글로 쓴 것'(맞나?)이라고 한다.

정말 느꼈다. 그녀는 분명한 미국인이었고, 이 소설은 단지 한국이 소재였을 뿐었다. 그래서 내가 읽기에는 짜증날 정도로 한국을 미국식으로 표현하였고, 한국의 불교를 무시하였고, 지압이라는 민간요법을 만병통치의 방법으로 설명하였고, 기독교만이 모든 것의 구원이었으며, 미국은 평화의 대지였다. 공산주의에 대한 경멸과 스스로 아시아계이면서 아시아에 대한 경멸이 나타나있었다. 그녀는 자부심을 느꼈다는 식으로 글을 시작했지만, 그것에 공감갈 이유가 별로 없었다.그것은 스스로도 확립하지 못한 진실을 억지로 글을 썼기 때문일 것이다.

펄벅의 대지가 생각났다. 그것을 나는 중국 소설로 읽었다. 그것은 어쩌면 내가 중국인이 아닌 외국인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펄벅의 생애는 중국과 많이 닿아있었고, 중국을 잘 이해하고 글을 쓴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어쩌면 중국인들이 대지를 보면서, 내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느낀 것 같은 거북함과 신경질을 느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문학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준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은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꽤 찬사를 받았다는 얘기를 들었었다. 이것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소설이었다. 그러고 보면 내가 화가 났던 것은 한국을 좀 잘 표현해주기 바란 욕심에서였던 것 같다. 읽으면서, 이것은 한국이 아닌데, 전쟁의 모습이 이것이 아닌데, 나는 그런 생각만 났다. 난 그 미국작가에게 욕심을 내고 있는 것 같다. 좀 더 한국답게, 한국다운 모습을 써주길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