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은 행복하다
양정훈 글.그림 / 라이카미(부즈펌)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북유럽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도 높은 요즘이다. 몇년전부터 시작된 북유럽 열풍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이젠 패션이나 인테리어를 넘어 라이프 스타일에도 관심을 갖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 책은 저자가 인권을 공부하며 스웨덴과 노르웨이에 머물며 경험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에세이 형식의 책에서 북유럽 사람들의 행복관을 볼 수 있고, 왜 그들이 행복한지, 그들이 생각하는 행복이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의 행복관이랄까, 그들의 행복론은 개인적으로 상당히 충격적인 부분도 많았다. 그동안 내가 알고 살았던 상식, 내가 생각했던 행복과는 본질이 달랐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행복이라는 걸 이렇게 생각했구나를 알게 되면서 스스로의 속물적인 속성과 편협한 행복론에 실망하기도 했다. "우리가 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스웨덴 사람들. <우리가 가장 행복하다>는 말은 짐짓 충격이었다. 행복은 개인의 삶에서 나온다고 나는 생각하고 살았던 것 같다. 그러나 행복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고 그 사회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좀 더 모두가,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 여전히 끊임없이 노력한다.

저자도 언급했지만 북유럽 사람들의 행복론에서 흔히 나오는 것이 복지이다. 복지가 있기 때문에 행복한 것 아니냐는 생각도 많은데, 그 사람들은 생각은 달랐다. 모두가 행복하기 위한 가치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복지를 한다는 것이다. 복지는 원인이 아니라 결과였다. 이것도 개인적으로 굉장히 충격이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복지는 그저 "돈쓰기" 논리로만 취급되고 있는데 반해 정말 생각하는 것이 다르구나 싶었다.

그들의 행복은 삶의 대하는 방식에서부터의 차이였다. 정말 소소한 것, 사소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부터 다르더라. 본질이 다르다는 게 이런 거구나 싶었다. 이런 교육과 생활, 사회가 엄청 부러웠다.그것은 그저 열심히 살면 된다는 우리가 가진 그저그런 논리와는 다르다. 우리는 사실 열심히 하지 않으면 고꾸라질 것 같은 상황이다. 아둥바둥해야 제자리인 삶은 본질에 대한 고민을 할 여유가 없다. 그러나 그들은 왜 열심히 해야하는지가 우선이고, 왜를 고민할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이 보장되어 있어 최소한 고꾸라지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기에 사실 더 발전하고 진보할 수 있다. 물론 그들도 완벽하지는 않다. 그러나 그들은 완벽하지 않음을, 부족함을 진실되게 인정되고 더 완벽해지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정말 달랐다.

결국 모두가 변해야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을 통해 좀 더 행복한 삶, 모두가 행복한 삶을 다시 생각하고 고민하게 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