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이라는 중독 - 불안한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토머스 커런 지음, 김문주 옮김 / 북라이프 / 2024년 9월
평점 :
서평단활동 No.70🌷
⠀
📕 책 : 완벽이라는 중독
💛저자 : 토머스 커런 지음, 김문주 옮김
💚출판사 : 북라이프
💙장르 : 심리학
⠀
✍️나는 어린시절부터 손이 느렸다. 그래서 주위사람들에게
"너는 왜이렇게 느려?", "왜 이렇게 굼뜨냐?"라는 질책을 자주 받았다.
그런 질책을 받을 때마다 나는 느린대신 꼼꼼하고 완벽하게라는 주문을
스스로에게 끊임 없이 요구했다. 때로는 그것이 강박과 불안으로 다가왔다.
학창시절 필기노트를 제출할 때면 글씨를 한글자라도 틀리는 것이 싫었다.
자칫 한글자라도 틀리게 되면 수정액이나 수정테이프가 노트를
더럽히는(?)것 조차 싫어서 틀린 부분이 있는 장은 아예 찢어냈다.
그리고 그 장의 내용을 새로 다시 써내려갔다.
남들은 1~2시간이면 정리할 필기노트를 나는 그렇게
5~6시간 이상을 때로는 며칠이라는 시간을 허비하기도 하였다.
그런 완벽주의의 강박감과 불안감에 어쩔 땐 스스로 나가 떨어져
한없이 무기력해져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을때도 부지기수였다.
그러고 수없이 나 스스로에게 "나는 왜 이모양일까?",
"나는 왜이렇게 나약할까"하며 자책하기를 반복했다.
⠀
어른이 되어 사회생활을 시작한 나는 조금 나아졌을까 싶었지만
평소 덜렁거리고 잘 깜빡거리는 난 스스로에게 더욱 엄격해져야만 했다.
가벼운 실수는 인간이라면 당연한 것인데 나에겐 엄청난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리고 결혼을 하고 출산을 하여 아이를 육아하며 완벽주의는 극에 달했다.
아이를 잘키워내야한다는 부담감, 부모님이 걱정하지 않도록 결혼생활을
잘 해야 한다는 생각들, 가정과 살림을 잘 꾸려나가야 한다는 강박들 기타 등등..
책을 읽으며 눈에 띄는 부분이 참 많았다.
⠀
🔖p88 연구에 따르면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스트레스나 괴로움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으며,
정신건강 문제를 관리하거나 치료받기 위해 도움을 구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이들은 문제를 되도록 깊숙히 묻고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취급하며,
심지어 상황을 감당하기 위해 완벽주의에 더욱 기대기도 했다.
⠀
특히나 저자가 처음 공황발작을 겪었을 때 일화를 읽고 많은 공감을 했다.
최근에 갑자기 심장이 미친 듯이 고동치고 숨이 안쉬어지고
손이 떨리고 입술이 마르고 구역질이 나고 죽을 것 같다는 경험이
두차례 있었다. 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던건 아니었다.
그래서 더 내가 왜 그러는건지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그런데 이책을 읽고 나서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나 괴로움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으며,
문제를 되도록 깊숙히 묻고 존재하지 않았던 것 처럼 취급하며,
상황을 감당하기 위해 완벽 주의에 더욱 기대는.. 이건 내 모습이다.
⠀
이 책에서는 최근 스페인 연구자들은 발렌시아에 거주하는
청소년 쌍둥이 약 600쌍을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를 통해 연구한 결과
자기지향완벽주의의 약 30퍼센트가 유전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저자는 완벽주의 성향이 유전적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분위기,
경제, 문화현상등의 원인이 강하다고 이야기 한다.
⠀
🔖P172 더 많은 것을 얻으려는 우리의 집단적 아우성 아래에는
결핍적인 사고가 깔려 있다. 결핍적인 사고는 자신이 과연 충분한
사람인지에 대해 지속해서 불안하게 의문하도록 붙들어놓으며,
우리 경제가 우리에게 반복해서 가르쳐야만 하고 계속 가르치려는,
사회적으로 길들여진 사고방식이다.
⠀
우리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며 다양한 대중매체, 미디어, SNS 등을
통해 많은 정보를 공유하며 누군지 모르는 타인과 나를 끊임없이
비교하고 경쟁하며 살아간다.
그런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는 사람들을 더욱 더 완벽주의의
깊은 늪으로 빠트릴 것이다. 실제로 연구결과 점점 완벽주의로
고통받고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나의 어머니를 이어 나, 그리고 나의 자녀까지 이어지고 있는
완벽주의성향이 앞으로 더 많은 사회적 분위기와
문화에 노출될 나의 자녀를 괴롭힐까 염려가 되었다.
⠀
책의 후반부에는 완벽주의에서 좀 더 자유로워지고
좀 더 단단해진 내 자신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나와있다.
또한 저자는 더 나아가 완벽주의를 부축이는 사회적, 경제적
성장 발전이 미래에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도 고민해본다.
불안감과 완벽주의에서 좀 더 자유로워지고 싶으신 분들은
책을 통해 직접 확인해 보심을 적극 추천해본다!
⠀
💜출판사 북라이프로 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