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는 나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네이선 사와야 지음, 김이선 옮김 / 엘리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숭고한 마음으로 책을 열었다. 이태리 장인이 한 땀 한 땀 수놓은 물건에 버금가는 레고작품이 펼쳐졌다. 저자는 하고 싶은 일을 직업으로 가졌다. 자신의 재능을 깨닫고, 마음껏 재능을 펼치는 저자가 부럽다.

 

그의 작품에는 살면서 겪은 희로애락이 담겨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희로애락을 저자는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경이롭다. 그의 작품은 놀랍고 신기하며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두에게 감동을 준다. 그렇기에 그의 작품은 더욱 뛰어나다.

 

재능, 상상력, 감성 등을 담아 온 마음으로 작품을 탄생시켜서일까? 책장을 넘길 때마다 심금이 울리고 진한 감동이 밀려온다. 난 이오지마 모형을 보며 눈물을 흘렸다. 배경이 이오지마 전투인 영화가 떠올랐고, 2차 세계대전에 대해 생각했다. 귀환 후 전쟁에 대해 말하지 않은 할아버지의 사연까지 더해져 나의 마음을 촉촉이 적셔주었다.

 

이 책을 만나게 된 것은 행운이다. 작품전시회에 가야 볼 수 있는 작품들을 책으로 담으니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다. 내 가족들도 한 번 씩 이 책을 읽었고, 아이는 학교에 가져가 친구들과 함께 보았다. 또한, 이 책은 아이가 가장 사랑하는 책이 되었다. 저자가 꿈을 펼치는 모습을 아이가 보고 또 본다. 아이는 작품과 저자의 삶을 보며 무엇을 생각할까? 아이의 상상력을 자르지 않도록 삶을 재는 잣대와 가위를 멀리 치워야겠다

 

나도 네이선 사와야처럼 나의 길을 찾고 싶다. 하고 싶었지만 당장 할 수 없어 미루고 미뤄두었던 일부터 차근차근 하련다. 충분히 나를 알고 삶의 재미를 느끼고 싶다.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얻는 행복과 기쁨을 누리고 싶다. 그리고 꿈을 찾으며 힘들 때나 꿈을 잃어버렸을 때 이 책을 꺼내 보고 싶다. 네이선 사와야가 해냈듯 나도 할 수 있다. 나의 길 위에 서 있는 나를 꿈꾸어본다.

 

네이선 사와야의 삶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다. 그는 레고로 작품을 만들며 동시에 자신의 삶을 만들고 있다. 그가 앞으로 만들 작품은 무궁무진하며 그의 삶 또한 아직 완성되지 않은 채 만들어져 가고 있다. 앞으로 그가 만들 작품과 멋지게 만들어질 그의 삶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이 되고 싶은 가로등 철학하는 아이 6
하마다 히로스케 지음, 시마다 시호 그림, 고향옥 옮김, 엄혜숙 해설 / 이마주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도 동화가 필요하다. 때론 동화가 메마른 마음을 적셔준다. 지친 하루를 보내고 잠들기 전 동화를 읽으면 어떨까? 마치 아이가 잠자기 전 동화책을 읽듯 말이다. 아이가 동화 주인공이 되어 꿈을 꾸듯 어른들도 꿈을 꾸게 되지 않을까?

 

   ‘별이 되고 싶은 가로등은 세상살이로 메말랐던 마음을 촉촉이 적셔주었다. 침대 옆 책꽂이에 꽂아두고 두고두고 보고픈 책이다. 다른 시리즈도 읽어보고 싶어졌다. 그 책들을 아이에게도 읽어주지만 내 침대 옆에 두고 잠들기 전 읽고 싶다. 어른도 동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가로등이 있다. 수많은 별들이 있듯 말이다. 나는 별이 되고 싶은 가로등에게 말해주고 싶다.

 

당신은 특별합니다.(You are so special!)”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기에 내 존재가 한없이 작아 보일 때가 있다. 하지만 난 매우 특별한사람이다. 이 세상에 단 한 명뿐이고 내 삶은 나에게 특별하다. 남이 나를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내가 나를 인정하면 난 특별해진다. 남이 내 불빛이 별빛 같지 않다 해도 내가 별빛이라 생각하면 내 불빛은 특별해진다. 누구에게나 24시간이 주어진다. 그 시간을 패배의식, 타인과의 비교 등으로 채울지 아니면 감사, 자신감 등으로 채울지는 본인이 선택하기 나름이다. 내 인생이다. 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해 할 일을 한다면 더욱 기쁘게 불을 밝힐 수 있다. 누구나 태어난 이유가 있다. 태어난 이유를 알고 살면 좋다. 내가 특별해지고 귀하게 느껴진다. 그러면 다른 사람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는다. 난 특별하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읽어주었다. 슬프다가 아니, 누가 뭐라고 하던 이제 상관없어.’(p 21)라는 대목에서 전환이 되고, 별처럼 환하게 빛나 좋단다. 웃는 아이의 얼굴 너머로 가로등의 밝은 불빛이 보이는 듯하다. 아이는 별이 되고 싶은 가로등을 어떻게 기억할까? 환하게 불을 밝혀 별처럼 빛나는 존재로 기억할까? 힘든 순간 이 동화를 떠올릴까?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어야 한다. 좋은 책으로 아이의 마음을 따스하게 지펴주고 밝게 빛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아이가 자신 뿐 아니라 남을 돌아보길 바란다. 세상은 혼자 살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자의 글쓰기 - 단순하지만 강력한 글쓰기 원칙
박종인 지음 / 북라이프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잘못이 없어요. 정말 좋은 책인데... ㅠㅠ 글쓰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정말 좋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자의 글쓰기 - 단순하지만 강력한 글쓰기 원칙
박종인 지음 / 북라이프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단순하지만 강력한 글쓰기 원칙은 나를 흔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자의 글쓰기 - 단순하지만 강력한 글쓰기 원칙
박종인 지음 / 북라이프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백일장에 나갔다. 설렘 반 기대 반, 빈 종이에 글을 썼다. 주제를 떠올리자마자 펼쳐지는 글을 최대한 간결하게 팩트만 모아 적었다. 칸이 메워지자 소리 내어 읽었다. 신기했다. 저절로 글이 고쳐졌다. 완성된 글을 원고지에 옮겨 제출하러 갔다. 한 걸음. 한 걸음. 부스와 가까워질 때마다 마음속에 풍선이 하나씩 생겨났다. 빈 원고지를 받았을 때 생겨난 설렘 풍선과 기대 풍선 사이로 기쁨 풍선, 행복 풍선 등 많은 풍선들이 떠올랐다.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샘솟았다. 글을 쓰면서 처음 맛보는 감정이었다.

 

  읽고 싶었다. 이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책 소개를 읽는 순간 나를 위한 책임을 깨달았다. 글쓰기를 좋아하지만 정작 내 글은 재미없고 밋밋하다. 글쓰기 대회에서 입상한 적은 당연히 없다. 이 책을 읽으며 돌아오는 토요일이 기대되었다. 내가 쓴 글이 어떻게 달라졌을지 궁금했다. 백일장 당일, 부푼 마음으로 펜을 들었을 때 깨달았다. 예전 방식으로는 글을 쓸 수 없음을 말이다. 빈 종이를 채운 글은 새로웠다. ‘기자의 글쓰기책에서 읽었던 저자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긴 글이 눈앞에 펼쳐졌다. 내가 썼다는 사실을 믿기 어려웠다.

 

  배움은 사람을 만든다. 책을 통한 배움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전해진다. 마치 작가와 일대 일로 마주하듯 말이다. 기자 24년차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책을 펼치면 언제든 저자와 만난다. 이것은 책에서만 얻는 묘미이다. 읽고도 아리송하다면 다시 읽으면 된다. 일독으로 끝날 책이 아니다. 재독, 삼독하여 저자의 글 쓰는 노하우를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직접 써봐라. 백 번 보는 것보다 한 번 해보는 것이 낫다.(百見而 不如一行) 어느 새 저자의 노하우가 녹아난 글을 쓰고 있다면 성공이다.

 

  블로그, 페이스북 등으로 자신의 스토리를 무한하게 펼치는 세상이다. 인기 여부를 떠나 독자를 위한 글을 써야 한다. 읽는 사람이 몰입하고 재미있어 하는 글쓰기는 필수다. 지금보다 나은 글쓰기를 원하는 모두에게 추천한다. 진정한 글쓰기 방법이 이 책에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