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 더하기 삶 - 한국의 건축가 13인이 말하는 사람을 닮은 집
김인철 외 지음, 박성진 엮음 / MY(흐름출판) / 2013년 11월
평점 :
얼마전까지만 해도 집이라는 것은 살기위한 장소를 넘어 재산을 증식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어 왔다. 살기 편하고, 교육환경이 좋은 곳은 아직도 시세가 많이 떨어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많은 지역은 거품이 조금씩 빠지면서 전 만큼 부동산 매매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집은 재산이라 보기 어려워진다. 가지고 있어봤자 손해거나 본전이니까. 해마다 돈가치는 떨어진다고 본다면 본전은 결국 손해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집에 대한 생각을 다시 가져야 한다. 이젠 우리의 인생에 동반자와 같은 존재이며 그 곳을 통해 꿈을 꾸기도 하고 이루기도 하는 것이다.
홈스토리 채널의 <하우징 스토리>라는 방송을 통해 소개된 건축가와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를 재구성해서 이 책으로 만들었다 한다. 건축가 13인이 말하고 있는 집은 어떤 것들을 담고 있을까 책소개를 보고 궁금했다. 나이가 들면서 미래에 대한 생각을 자주하곤 한다. 딱히 귀농을 해야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단지 언젠가 애들 출가시킨 후 하던 일도 정리해야할 시점이 되면 조용한 곳에서 소박한 삶을 살아야하지 않을까 막연한 생각을 하는데 그 중심에는 내가 꿈꾸던 집이 있다. 너무 넓지 않은 주택이지만 천편일률적인 집이 아니라 내가 설계하고 내 맘에 쏙 드는 그런 곳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런 까닭으로 집에 대한 책을 만나면 그냥 지나치기가 어렵다.
은빛 호수 위로 점 하나를 찍다
지난 여름 일본의 아즈카박물관을 가게 되었다.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의 건축물인 아즈카박물관은 노출 콘크리트로 외관을 마무리함으로 깔끔하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이 건물 또한 그 분위기이다. 옆으로는 산과 호수를 배경으로 하고 획일적이지 않는 창문과 눈에 거슬리지 않는 자연스러운색으로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콘 일반적이거나 평범하지 않는 집임에는 틀림없다.

인왕제색도 부럽지 않은 평창제색도
조선 후기 화가인 정선의 인왕제색도의 이름을 고쳐서 사용한 평창제색도. 북한산에 위치한 멋진 풍경을 소유한 집이다. 주변환경과의 조화 뿐만아니라 집 자체가 예술이라 할 수 있다. 평범함을 거부하는 내부 구조, 자연과의 조화를 탁월하게 이룬 주변환경 은 그동안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건축물이었다.

있는 듯 없는 듯, 자연과 어울리는 숨바꼭질
아름다운 건축물만큼 광고카피같은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청평호수에 있는 갤러리 유미재는 급경사 위에 지어졌고, 소나무와 함께 공존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나쁜 조건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건축물이라 아주 흥미롭고 신선하다.
이 책에 소개된 건축물은 흔히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집이 아니었다. 누군가 돈이 많으니 여유가 있으니 그런 건축을 하고 사는 것 아니냐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축물 자체를 부와 권력의 상징만으로만 치부하기엔 이 시대가 안고 가야할 과제가 있다 생각한다. 우리는 조상으로 부터 문화유산을 선물로 받았다. 그것을 통해 그 시대를 배우고 그리며 정신과 문화를 계승하고자 노력한다. 그렇다면 미래에 우리의 자손에게 현재의 우리는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문화유산의 대부분이 건축물임을 생각할때에 이런 젊고 신선한 시도를 하는 건축가들이 이 시대에 있다는 것은 큰 위안이 된다. 우리의 미래에 문화유산이 되어줄 멋진 건축물들이 곳곳에서 만들어지길 응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