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의 사자 - 고양이는 어떻게 인간을 길들이고 세계를 정복했을까
애비게일 터커 지음, 이다희 옮김 / 마티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읽었던 책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표지라고 생각된다. 외국책들에 비해 우리나라 책들은 표지에 많은 신경을쓴다고 생각해왔다. 그래도 내용을 보고 책을 골라야지 라고 생각하는 편인데, 이 책을 내용도 잘 모른채 읽게 된 데에는 책의 겉표지가 크게 한몫했다고 말하고 싶다.

동물을 한번도 키워보지 않은 내가 최근들어 '냥이앓이'를 시작했다. SNS를 통해 올라오는 고양이 사진을 바라보며 히죽히죽거리고 길가의 고양이들을 보면 말을 걸고 싶어졌다. 실제 얼마전에는 앞집 지붕에서 놀고있는 고양이3마리에게 반갑게 인사를 했는데 그 아이들이 사람정에 굶주렸던 건지 오후에 우리집 현관문앞에 옹기종기 와있어서 깜짝 놀랐었다. 고양이의 도도한 표정과 대비되는 동그란 얼굴은 어딘가모르게 너무 예쁘고 귀여워서 보고 있으면 자꾸 웃음이 난다. 흔히 강아지가 사람들에게 충성적이고 애교가 많다고 하지만, 고양이를 키워본사람들은 고양이 애교에 빠지면 헤어나올수 없다고들 말한다.

요즘은 고양이를 키우는 일이 대세가 되어버린 느낌이다. 강아지보다 키우기 수월한 면도 한몫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 애비게일 터커는 의문을 가진다.

"고양이는 신문을 가져오지도 않고 맛있는 알을 낳지도 않으며, 우리를 태워주지도 않는다.인간이 어떤 짐승을, 한 마리도 아니고 수억마리를 곁에 둘 때는 대개 그 이유가 명백하다. 물론 우리를 고양이를 좋아하고 심지어 사랑한다. 그렇지만 왜? 고양이들에게 무슨 비결이 있길래?" 14

그녀는 자신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고양이에게 '홀렸'다고 생각한다.고양이의 이목구비는 아기와 닮았으며 귀엽고 동그랗고 무엇보다 눈이 빛나고 매력적이라고 한다. 책의 곳곳에 그녀의 고양이 치토스에 대한 사랑의 고백이 담겨져 있다. 하지만 고양이들이 인간과 함께 살게 된 데에는 인간이 아닌 '고양이'들의 '인간간택'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등 이 책은 과학, 역사, 지질학 등이 맞물려 재미난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다.

고양잇과 동물들의 멸종위기 속에서 크나큰 번영을 이루어낸 고양이의 생존이야기는 왜 그들이 '거실이 사자'인지를 잘 알려준다. 아울러 인간과 함께 하게 된 고양이들의 변화가 고양이 스스로를 위협하게 되는 현실들에 대한 이야기는 인간이 생태계에 얼마나 크나큰 영향을 주고 있는지 다시한 번 생각하게 만들기도 했다.

과학 탐구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읽으며 점점더 고양이에 대해 제대로 알아가게 되는 느낌이었다. 단순히 예쁘고 귀엽고 키우기 쉽다하여 관심이 갔는데 인간과 고양이의 관계는 생각보다 깊은 데서부터 연결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알아야 할것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 애비게일의 말처럼 책을 읽고나자 더욱더 고양이들이 매력적으로 사랑스럽게 보이고 경외롭기까지 하다. 고양이에 대해 정말 다양한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