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부엌 - 냉장고와 헤어진 어느 부부의 자급자족 라이프
김미수 지음 / 콤마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냉장고 없이 사는 삶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결단코 나는 없다. 앞으로도 그런 결정은 할일도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냉장고가 없는 삶을 살면서도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 어느 부부의 자급자족 라이프 이야기를 읽게 되었고, 생태적인 삶이라는 것에 대하여 새롭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인인 김미수씨는 생태토양학자인 독일인 다니엘을 만나 생태적인 삶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냉장고를 없애고 켈러(keller)라는 서늘한 저장공간을 통해 식재료를 보관해나가는 경험을 하게 되고 점차 더 식품을 오래 상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가게 된다. 그로인해 많은 음식이 잼, 피클, 병조림으로 변신하고 햇빛에 건조되어 허브차와 양념으로 만들어진다. 자신들의 생태적인 삶을 지켜나가기 위해 자의적인 완전채식을 해 나가고 자연속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이 부부의 모습을 보며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다. 한국이 아니라 이런 삶에 도전하는데 조금은 쉽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과 함께, 한국이건 독일이건 이러한 삶은 어느 부분의 불편을 감수하고 지켜나가야 하는 것들이 일반적인 삶보다 다수 더 존재하기에 상당한 의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싼 유기농 전문점에서 장을 보고 음식을 해 먹는 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작지만 소소한 일상의 변화와 노력을 통해서 그리고, 땀 흘려 직접 길러 먹는 수고를 통해서 생태부엌을 실현하고 생태적인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저자의 말에서 그저 편하게 친환경을 접하려고만 했던 내 모습을 떠올렸다.

이 부부들처럼 제철음식을 병조림을 통해 저장하고, 직접 길러 샐러드를 만들고, 스프를 만들어 먹으려면 좀더 수고로와야 하고 공부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생태적인 삶이 무엇인가에 대해 부부의 모습에 비추어 계속 생각해나갈 수 있어서 좋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것들에 대해 다시한 번 의문을 가지고 되돌아보게 하는 점이 좋았다. 이들은 책을 읽는 독자에게 모두가 자신들처럼 살아야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다만, "작지만 소소한 일상의 변화와 노력"을 통해 각자에게 맞는 생태밥상을 찾아 발전시켜나가기를 바란다. 조금 더 생태적으로 살기. 점점더 생태적인 삶으로 살기. 아직 먼 이야기지만 내가 이 책을 읽고 느낀 푸르고 따뜻한 마음이 없어지기 전에 실천해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