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은 인간을 정말 사랑할까? - 세계최초 뇌과학으로 밝혀낸 반려견의 생각
그레고리 번스 지음, 김신아 옮김 / 진성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가끔 강아지가 무슨 생각을 할까? 궁금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다. 강아지도 생각을 할까?

주인이 시키는 것을 척척 알아듣고 명령대로 움직이는 모습들을 보면 분명 이해하고 사고하는 부분은 있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과연, 강아지에게도 감정이 있을까? 반려견에게 조건없는 사랑을 주는 사람들을 과연 강아지도 사랑하고 있는 것일까?


저자 그레고리번즈는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 경제학 분야 교수인 자신의 전공을 살려 반려견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진행하기로 한다. 15년이라 함께 살아온 개 뉴턴의 죽음이 그녀로 하여금 자신이 강아지들에게 주고 있는 마음을 강아지들이 알고 반응하고 있는지 알고 싶도록 했다. 그녀는 개의 뇌를 찍는 MRI를 진행하기로 한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말처럼 쉽지가 않다. 깨어있는 개의 뇌를 찍기 위해선 진정제 없이 MRI기계에 개가 들어가도록 훈련시켜야 했다.

그리고 MRI기계에서 나는 엄청난 소음에 적응하는 훈련 또한 필요했다. 그녀는 그녀의 반려견 칼리를 MRI에 들어갈 첫번째 강아지로 선정하고 칼리를 훈련시키기 시작한다.


모의 테스트에 놀라울 정도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정식으로 MRI촬영을 진행하게 된날, 예상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칼리와 또다른 실험 개 맥켄지로 인해 조금 애를 먹지만 결국 그들은 세계최초로 개 MRI를 찍어내는데 성공한다.

이들이 이러한 실험을 통해 알아내게 된 것이 무엇일까?


짐작이 아닌 과학으로 이들이 발견해낸 것은 새롭지는 않았지만 과학적인 근거로 밝혀졌음에 조금 신기했다.

개 뇌의 꼬리활동이 핫도그같은 보상과 관련된 수신소의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들의 우수한 사회적 인지와 인간과의 관계에 화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마도 그레고리 번즈는 자신의 반려견과 진행한 이 실험을 통해 자신이 주고있는 사랑을 반려견들이 충분히 느끼고 감정의교류를 하고싶어 한다는 결론에 이르지 않았을까 싶다. 다른 건 모르겠지만 실험을 통해 개가 인간에게 집중하고 있다는 결과는 얻었기때문이다.


개도 생각이 있고 감정이 있는 존재이며 인간에게 집중하고 노력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많이 알 수 있었다.

강아지를 사람처럼 대하는 사람들을 볼때마다 좋지 않게 본것도 사실이다. 말도 안통하는 개에게 저게 뭔짓인가 싶은 생각을 한적도 많다.

하지만 강아지는 사람의 말을 하지 않을 뿐 감정이 있고 생각이 있는 존재이다.

표현할 수 있는 만큼 표현해주고 사랑해주어야 할 존재인 것이다.


"작은 애완동물은 환자, 특히 오랜 만성질환의 경우, 매우 훌륭한 동료가 된다."라고 말하며 동물치료로 호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치료의 예를 보며 우리에게 동물 특히 개라는 존재가 우리에게 보통 이상의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존재라는 생각과 함께 그렇다면 우린 앞으로도 좀더 적극적으로 개와의 소통을 위해 궁금해하고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