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돈 공부 - 나를 잃고 싶지 않아 처음 시작한
이지영 지음 / 다산3.0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는 강하다.' 라는 말이 있는 건 엄마들은 가족이라는 이름앞에 그 누구보다 모든것을 바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엄마들이 왜 돈 공부를 해야하는지, 그것이 그토록 그녀들이 사랑하는 가족에게 어떻게 돌아가는지 의지를 주고 용기를 준다.
강력한 <Why >는 < How >로 이어진다
나는 누구에게도 통제당하지 않는'나를 잃지 않는 삶'을 살고 싶었다.
나는 사랑하는 남편과 돈 문제로 아등바등 살고 싶지 않았다.
나는 아이들이 잠재력을 펼칠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충분히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부모가 되고 싶었다.
나는 돈때문에 건강을 잃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았다.
위의 네가지는 저자 이지영씨가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세운 why이다.
저 문장들을 읊고 있자니 나 또한 돈을 모을 이유가 너무 많았다. 가족의 행복을 위해, 나의 행복을 위해 종잣돈 모으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하루에 두시간을 자기계발에 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워킹맘과 전업주부의 여유시간 2시간을 어떻게 쓰는가를 분석한 내용이 나에게 흥미롭게 와닿았다. 워킹맘들 중 퇴근 후 2시간을 어떻게 쓰는지 크게 3그룹으로 나누었다. 워커홀릭으로 집에서도 업무의 연장선에 있는 엄마, 자기계발을 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엄마, 경제적 자유의 시스템 마련을 위해 쓰는 엄마로 나누었다고 했다.전업주부도 3부류로 나누었다. 좋은엄마가 되기 위해 가정에 충실한 모습을 보이는 엄마와 역시 자기계발에 도전하는 엄마, 그리고 마지막으로 경제적 자유의 시스템 마련을 위해 쓰는 엄마라고 했다. 두번째와 세번째는 크게 다르진 않지 않을까 싶다. 둘다 미래지향적인 준비를 하는 것이니까.
여기서 저자가 말하고자 했던 것은 더 나은 삶을 위해 투자, 공부,자기계발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열심히 일하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한 사회에 살고 있다하면서 좀더 과감한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투자의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과감한 도전에 여성들이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바를 캐치하고 그래야하는 이유를 계속하며 집어내준다. 그리고 엄마들이 처음 '돈공부'을 시작하려면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 추천도서와 생활습관 등을 교정해 준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나도 저자처럼 아바타 수입이 따라오는( 내가 직접 발로 뛰어 일하지 않아도 들어오는 수입) 삶을 살고 싶어지고 그러기 위해 공부를 하고 싶어질 것이다. 리스크가 있다하더라도 도전해볼만한 분야로 부동산을 들고 있으므로 책에는 해당관련 추천도서들이 꽤 나와 있다.
나도 더 나은 삶을 위해 오늘의 방향을 잘 잡고 살고 싶다.
읽고 나니 부동산 경매 공부가 엄청 해보고 싶어지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