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로 가정상비약 만들기 - 자연이 준 최고의 선물 허브
로즈마리 그레드스타 지음, 장인선.장소희 옮김 / 21세기사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브를 언제 사용하는 줄 아나요?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결혼전의 나는 파스타 먹을때요? 하고 무신경하게 넘겼을 것이다. 하지만 결혼 후 천연 비누와 화장품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허브에 대한 나의 관심과 활용도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넓어지고 깊어졌다. 물론 이제 시작이라 아직 개념이 잡히지도 않고 무수한 허브의 종류들에 대하여 모르는 것도 많지만 이제 나는 안다. 허브의 무궁무진한 활용으로 음식으로는 물론, 약으로도 얼마든지 쓰일 수가 있다는 것을.


저자 로즈마리 글레드스타(본명인지는 모르겠음) 는 할머니를 통해 당신의 길고 고된 삶을 통해 습득하신 유용한 허브요법을 배우며 자랐다.


우선 허브란, 식물학적으로 그 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하지 않고 초록색을 띠는 초본 식물을 뜻한다고 한다. 그러나 허벌리스트들이 의약용 허브라고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식물들을 의미하므로 우리는 모르는 새에 이미 허브가정요법을 사용하고 있을수도 있다고 했다.

허브요법은 감기, 기침, 통증 두통 등 비교적 가벼운 건강문제에 효과적이다.영양성분이 풍부한 허브는 탁월한 질병 예방 기능이 있으며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와 싸워 이길 수 있도록 우리 몸의 방어능력을 높여준다고 한다.


"질병의 '치료'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식물이 질병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허브 활용 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우리기'방식으로 허브차를 만들어 섭취하는 방식이 있으며 햇빛과 달빛을 이용하여 오일에 부어 우려내는 방법(인퓨즈라고 한다), 알콜에 우려내는 팅처방식도 있다. 우려낸 오일을 밀랍과 섞어 굳히면 효과좋은 약용연고가 된다. 목욕시 물에 풀어 아로마효과를 얻을 수도 있고 습포제로 만들어 환부를 진정시키는데 쓰거나 찜질팩을 만들기도 한다.

허브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무궁무진하고 어떤형태로든지 우리에게 이로운 효과를 안겨다 준다. 하지만 뭐든 '적정량'이 있다는 것은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


책속에서는 각종 허브의 유용함을 설명한 뒤에 직접 허브를 기르는 법, 여러 허브를 블렌딩하여 차를 만들어마시는 방법 등을 차례로 설명한다. 각 허브마다 그 특성에 따라 추천하는 활용방법이 다른 것이 눈에 띄었다. 세이지같은 허브의 경후 인후염에 좋아 가글로도 활용하게끔 설명하고 있고 강황의 경우에는 우유에 섞어 먹도록 권장하고 있다.


바질, 계피, 로즈메리, 라벤더 등의 익숙하던 이름들부터 에키네이셔, 히드라스티스, 쥐오줌풀 등 처음 듣는 이름들의 허브들까지 자세히 다뤄주어 관심있게 읽었다. 쉽게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허브들부터 활용을 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인퓨즈방식은 천연비누를 만드는데 이미 활용해본 적이 있고, 팅처는 화장품을 만드는데 활용해본 적이 있어서 책에나온대로 이 오일들을 이용한 다른 활용법도 쉽게 따라할 수 있겠다 싶어 반갑고 신이 났다.


자연이 준 최고의 선물 이라는 허브. 나는 재주는 없지만 열심히 자연이 준 것을 잘 활용하고 감사하며 오늘을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