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논어에서 얻은 것 - 삶이 흔들릴 때 나를 잡아주는 힘
사이토 다카시, 박성민 / 시공사 / 2016년 6월
평점 :
논어는 주로 공자가 제자들에게 들려준 말을 글로 옮긴 것이다. 또한 일방적으로 공자가 자신의 생각을 말한 것이 아니라 제자들이 던진 질문에 답을 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일까 논어를 읽다보면 그 속에 담긴 공자나 제자들의 인간상과 그 상황이 생생하게 살아서 떠오르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여기에 저자는 논어를 되풀이해서 읽으면 나 자신과 <논어>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스승과 제자의 대화를 들려주고 있지만 그 대화속에서 느껴지는 깨달음은 보편적인 깨달음이 되어 현재 우리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조언으로 새겨진다. 이러한 점이 지금껏 수많은 사람들이 논어를 읽는 이유일 것이다.
이전에도 논어에 대한 책들을 읽어보았지만 어려워서 이해를 하는 것은 어느정도 포기했었는데, 이 책은 논어를 읽는 방법을 알려주는 저자의 해석이 덧붙여 있어 일기가 한결 쉬웠다.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며 '스승'으로서의 논어에 대하여 많이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그는 정말 좋은 스승이었던 것 같다. 개개인의 성격과 기질에 맞추어 같은 질문에도 다른 대답을 해주는 스승이었고, 배우고자 하는 자세가 있다면 선입견없이 환경과 과거는 묻지않고 제자로 들였다. 그러하기에 공자의 제자가 3000명이었다는 말까지 생겼구나 싶었다.
뒤쪽으로는 공자의 대표적인 제자들, 안회, 자로, 자공, 염유란 사람들에 대해 설명하며 이들을 알고 논어를 읽을 때 훨씬 깊은 이해에 도다른다고 말하고 있다. 각각 다른 성격이지만 그에 맞는 가르침을 공자에게서 각각 받았기 때문이다. 이들을 이해하고 논어를 읽으면 논어를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되겠다 싶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갈 수록 더욱 보편적인 가르침으로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존경받는 논어. 내 생각의 중심이되어 삶이 흔들릴 때 나를 잡아주는 힘이 되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지혜가 필요할 때, 도전이 필요할 때, 위로가 필요할 때,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을 때 아마도 이 책을 꺼내보지 않을까 싶다. 한번읽고 두번읽고 세번읽을 때 다른 논어의 세계가 보인다는 논어를 나는 몇번이나 읽게 될지 과연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