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품격 - 조선의 문장가에게 배우는 치밀하고 섬세하게 일상을 쓰는 법
안대회 지음 / 휴머니스트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보다 오늘날 훨씬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글을 쓰고 나누는 시대가 되었다. 꼭 책이 아니더라도 블로그나 각종 SNS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쉽게 나누고 소통하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글을 쓰게 된 데에 비해서 잘 쓴 글을 찾기란 생각보다 쉽지않다.


오히려 좋은 문장은 조선 시대 문인들의 문장을 통해서 더 찾을 수 있었다. 허균, 이용휴, 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이옥, 정약용 일곱사람들이 썼던 글들 중 일상적인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써내려간 산문들을 엮어 낸 책이 '문장의 품격'이다.


이전의 글들에선 보지못했던 도시 취향의 삶과 의식, 여성과 평민 등 소외계층의 일상, 담배, 음식, 화훼의 기호품까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생동하는 모습을 담았다. 요즘의 많은 블로거들이 올리는 일기와도 비슷하여 저자는 이들을 지금의 '파워블로거'에 비교하기도 했다.


책을 읽으며 선조들에게도 그들의 삶과 생각, 고민이 있었고 그것을 글을 통해 정리해나가려 했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또 한편으로는 깊게 고민하지 않고 일상을 담은 글들도 쓰곤했구나 하는 '자연'스러운 글들이 있어서 재미가 있었다. 내 이름의 자(字)가 너무 흔해 명숙에서 무관으로 자를 바꾸기로 했다는 이력(?)을 담은 이덕무의 산문이나 너무 무료해서 문틈을 내다본 바깥, 시장의 풍경을 낱낱이 열거하여 써내려가다 문구멍을 막은 장사꾼의 짐봇따리에 '관찰'을 멈추었다는 이옥의 글은 깊이 생각하지 않고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일기처럼 느껴져서 더 친근하게 느껴졌다. 그러면서도 가벼운 문장속에 담긴 무게가 느껴지는 글들도 있어서 느껴지는 감정이 참으로 다채롭고 풍부했다.


"이 작은 방에서 몸을 돌려 앉으면 방위가 바뀌고 명암이 달라지지. 구도란 생각을 바꾸는 데 달린 법,

 생각이 바뀌면 그 뒤를 따르지 않을 것이 없지" - 55P 이용휴 '살구나무 아래의 집' 중에서 -


조선시대 그들이 오늘날 살아있었다면 어떤글들을 쓰고 계셨을까 괜히 궁금해진다. 그들이 보고 느낀 시선에 흥미가 간다. 저자의 말처럼 현재와의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공유하는 가치가 많다는 것을 느낀다. 소소하고 개별적이고 작은것에 가치를 두었던 이 문인들의 글에 괜히 감탄이 나온다. 나의 문장력이 그들의 뒤를 조금이라도 따라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