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형 인간 - 일, 생각, 미래를 기록하면 삶이 달라진다
이찬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사는 현재 시대에 대해서 후손들에게 알릴 방법을 이젠 엄청나게 많다. 전자자료들이 있고 수많은 책이 있다. 음성녹음과 영상 자료들이 생생하게 후손들에게 우리의 삶을 전해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이전 세대, 조금 더 위로 올라가 조선, 고려, 인류의 처음으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그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려주는 자료는 거의 없다. 때문에 우리는 선택권이 없는 몇 안되는 자료에 의지해 우리의 역사를 이해하는 수밖에 없다. 우리의 후손들에게 현재의 나에 대하여 알리는 방법은 '직접'그 때까지 살아있지 않은 이상은 '기록'밖에는 없다.

오늘의 나를 기록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는 것이 저자가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이다.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일상을 기록하고, 내가 하고 있는 업무를 기록하고, 앞으로 하고 싶은 것에 대한 미래를 기록하는 일. 모든 것에 기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재차  강조하는 책이다. 끊임없는 기록을 몸소 실천했던 사람으로 <류비셰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사람은 매일매일의 모든 일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데이터화를 시켰다. 올해의 기록을 토대로 내년도의 계획을 세웠고 그 계획과 실제 실행과의 오차는 불과 1%였다고 한다. '기록'을 위한 시간을 따로 가질정도로 그는 기록에 매달렸고 그 결과 단 1분 1초도 낭비하지 않는 삶을 살았다. 수많은 기록으로 인하여 시간을 많이 뺏겼을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올바르게 쓰는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기록이 나의 흔적을 남기는 것 뿐 아니라 제대로 계획대로 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대로 된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도와주는 도구들을 잘 선택하여야 하고 수많은 데이터 사이에서 불필요한 자료들을 버릴줄도 알아야한다. 무작정 다 기록한다고 될 일이 아니고 분별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기록을 도와주는 도구(다이어리, 펜 등)들부터 방법까지 세세히 알려준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당장 좋은 펜을 집어들고 깨끗한 다이어리를 뺵빽히 채우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