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괜찮은 죽음 - 어떻게 받아들이고 준비할 것인가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글쎄. 괜찮은 죽음이라는 게 과연 있기는 한걸까? 저자가 말하는 괜찮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책 속 소단원 중에 '괜찮은 죽음'파트에서는 저자 헨리 마시의 어머니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암에 걸리신 어머니가 불치판정을 받은 후 돌아가시기까지 집에서 마지막을 준비하여 보내드린 이야기. 얼마전에 읽었던 '엄마와 보내는 마지막 시간 14일'의 상황과 비슷했다.


'괜찮은 죽음'이라는 다소 의아한 제목을 달게 된 데에는 어머니가 정신이 혼미하시는 동안에도 깨어나시면'괜찮은 삶이었어'라고 말씀하셨던 데에서 기인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신경외과 의사로서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을 바라본 그가 바라본 죽음에 대한 생각.

이 책은 그간 헨리 마시가 겪은 수많은 에피소드를 들어 저자의 인생통찰을 기록한 책이다.


생명이 달린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를 할 수 밖에 없는 직업. 잘하면 영웅이 되지만 한순간의 실수이거나 그냥 운이 안 좋아 환자에게 안좋은 일이 일어나면 순식간의 악당의 역할을 맡을 수 밖에 없는 의사라는 직업. 모든 외과의사의 마음 한구석에는 공동묘지를 갖고 있다는 저자의 말에 의사로서 가진 마음의 무게를 느낄 수가 있었다.


의사는 신이 아니다. 병원에서 일 가운데 대부분은 운의 문제라고도 한다. 우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에 본인 또는 가족의 생명을 위해 의사를 무조건 믿고 따를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안 좋은 결과 앞에선 모든 원망도 의사를 향해 있다. 때문에 끝없는 무게를 감당해야하는 의사들. 한낱 인간에 불과하고 그들 역시 언젠가는 환자가 된다. 이러한 입장을 조금은 헤아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에피소드는 성공한 이야기들만 담지 않았다. 실패한 에피소드도 담겨있고 그로인한 괴로움과, 동시에 담담해져야 하는 의사의 입장도 그려져 있다. 이 책을 통해 의사와 환자가 만날 때 서로가 느끼는 인간적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저자의 말을 읽고 신뢰를 통해 서로 '괜찮은 죽음'에 다가가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죽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나 역시 마지막 순간에 '괜찮은 삶이었어'라고 말할 수 있도록 의미있게 살아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