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을 그리다 - 내실에서 꿈을 찾은 예술가
정항교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모양처의 뿌리가 누구겠냐 질문한다면 열에 아홉은 신사임당 이라 말하지 않을까 싶다. 율곡 이이를 비롯하여 자식들을 모두 훌륭하게 키워내신 위대한 어머니이자 예술적으로도 높은 경지를 이루는 예술가였던 그녀의 일생을 알수있는 책이 나왔다.


저자 정향교씨는 전 오죽헌 시립박물관장을 지내며 연구한 사임당과 얽힌 많은 이야기들을 '사임당을 그리다'라는 책에 담았다.

이 책을 통해 내가 미처 몰랐던 사임당의 여러 면을 볼 수 있었다.


책은 사임당을 예술가와 어머니 두 가지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림에 뛰어난 소질이 있었던 사임당의 그림을 이 책을 통해 제대로 처음 접해봤는데 정말 깜짝 놀랐다. 덧붙여져 있는 그림에 대한 설명을 읽으며 보니 정말 감탄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섬세하며 부드러운 선에 사물을 표현하는 능력이 정말 대단했다.

그림 뿐 아니라 시에도 탁원할 감각이 있었다. 친정어머니를 그리며 쓴 7언율시<어머니를 그리며>를 읽을땐 나도모르게 눈시울이 울컥해졌다. 우리 엄마가 생각이 났기 때문일까.


이후 어머니로서 자식을 훌륭하게 키워낸 어머니 사임당의 내용이 담겨있다. 사임당의 노력으로 훌륭한 사람으로 자란 율곡에 대해서 나와있다. 또 사임당의 맏딸 매창과 막내아들은 어머니의 예술적 감성을 이어받아 많은 작품을 남기며 조선 중기 우리 서화계에 신선한 충격과 아울러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할수만 있다면 사임당처럼 멋진 여성이 되고 싶다. 본인의 재능도 유감없이 발휘하고 어머니로서도 훌륭한 자식들을 키워내는 그런 여성이 되고 싶다. 정말 오랜 시간이 흘러 이 세대가 왔어도 현모양처로 꼽히고, 우리나라 화폐에 얼굴이 담길 정도로 대단했던 여인.


꼭 닮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