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 엄마와 보내는 마지막 시간
리사 고이치 지음, 김미란 옮김 / 가나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리사 고이치라는 미국 라디오 진행자의 실제 이야기로써 투석 없이는 생명 연장이 힘든 그녀의 어머니가 투석 중지 결정을 내린 후 세상을 떠나기까지의 14일에 걸친 기록이다.
그녀가 하루하루 페이스북에 일기처럼 남긴 글은 많은 이의 가슴을 울렸고 이렇게 책으로 나올 수 있게 되었다.

나에게 이 책이 유독 와 닿았던 것은 지난해 나의 아빠가 생사의 기로에 놓였던 순간이 있으며
의식을 되찾기까지 엄마와 함께 간병인이 되어 아빠의 손과 발이 되었었던 시간들이 있어서 저자의 슬픔과 힘듦이 정말 내 경험과 맞물려 너무나도 잘 와 닿았다.
매일 아침 일어나 엄마가 아직 숨을 쉬고 계신지 담요의 들썩임을 살폈다는 부분은 나 역시 아침마다 아빠의 얼굴에 다가가 숨소리를 확인하던 경험이 있어서 애잔하게 다가왔다.

한편으로 책을 읽으며 부러웠던 부분은 미국의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죽음을 대하는 방식이었다. 투석을 중지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생명 연장의 길을 포기하는 것이고 스스로 호스피스의 길을 택한 것인데, 그러한 환자에 맞는 지원이 책에서는 착착 진행되고 있다. 가정으로 의료용 침대가 세팅되고, 간호사가 배치되어 아침저녁으로 오고 사회복지사의 심리상담 시간이 있고 성직자와의 교감 시간도 주어진다. 이를 통해 가족 및 본인이 심적으로 안정 및 위로를 받게 되어 가정에서 생을 마감하는 마지막 시간을 보내는 데 집중하는 일이 가능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엔 아직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없을 것 같아 아쉬움이 생겼다.
그리고 찾아오는 손님들, 어머니를 사랑했던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따뜻한 마지막 말을 나누고 추억을 나누고 음식을 해오는 장면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조금 우리와 다르구나를 느꼈다. 우리라면 그저 통곡하고 우는 상황뿐이 없었을 것 같은데. 당사자의 긍정적인 성격도 한몫했겠지만 삶을 대하는 태도가 다른 것 같이 느껴졌다. 내가 모든 것을 이해하진 못했겠지만 그 따뜻한 이별의 과정은 왠지 부러웠다.

이별을 준비할 시간조차 주어지지 않은 채 이별하는 가족들도 많은데 이렇게 주어진 시간을 통해 값진 시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름다운 이별이라 생각이 들었다. 어머니의 마지막 숨이 멈추는 장면에서는 나도 모르게 가슴이 아파 눈물이 흘렀다. 아름다운 이별이든 아니든 가족의 죽음은 슬프지 않을 수 없으므로.


엄마의 숨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는 가운데 담요가 올라갔다 내려가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한 번, 두 번, 세 번, 네 번. 숨이 점점 느려지면서 거의 15초에 한 번씩 숨을 쉬었다. 다섯 번, 그리고...
다음 숨은 이어지지 않았다. 엄마가 떠났다.(260p)


책을 통해 나 자신이 가족과 이별하게 될 상황에 대해서도 떠올려보게 되며 다시금 눈가가 촉촉해지는 책이었다.
가족에게 더 잘해야겠다.

밀리 고이치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