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 정신의학자이자 여섯 아이의 아버지가 말하는 스웨덴 육아의 진실
다비드 에버하르드 지음, 권루시안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이유는 “완벽한 부모는 어떤사람일까?”하는 질문에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본인이 생각하는 좋은 부모는 ‘아이가 없는 부모’라고도 말한다.
이 말은 아마도 부모가 된 모든 아이의 엄마 아빠가 아이에게 있어 완벽한 부모라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일 것이고 그로 인한 미안함이 만들어 낸 각종 행동들은 오늘날 책으로 나올만큼 문제의 화두가 되어주고 있다.

식당에 가면 손님이 왕이고 가정에서는 아이가 왕이다.
실제 내 친구들을 통해 아이에 휘둘려 떼쓰고 울지 않게 하기 위해 이리저리 맞춰주고 사주고 달래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 예전의 다산의 시절에서 벗어나 한명만 낳고 잘 살자는 생각을 거쳐 이제는 아이 없이 살아야 더 행복하고 마음껏 나를 위해 누릴 수 있다는 딩크족 마인드현상이 어려운 경제 상황과 맞물려 자의든 타의든 늘어나짐에 따라서 아이들의 입지는 더욱 가정 내에서 최상위를 차지하는 추세가 되었다.

 

무엇이 원인이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수그러들 줄 모르는 아이든의 권력에 대하여 다비드 에버하르드는‘아이들은 어떻게 권력을 잡았나’ 라는 책을 통해 그것이 옳지 않음을 주장하고 있다. 스웨덴의 교육방법을 통해 북유럽에 대해 막연하게 모든 동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찬물을 끼얹어 주는 책이다.

과잉보호속에서 자라난 아이들로 인한 문제들을 거론하며 저자는 아이 본인의 문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한다. 물질로만  채워주려 하지 말고 정신적인 부분을 채워주라 말한다.

실질적으로 부족함을 모르고 자라는 환경은 강인한 정신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자동차를 타고 매일 등교를 시켜주는 사이에 아이의 다리를 점점 약해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본인이 노력하고 얻는 경험과 성취에 의해서만 자라날 수 있는 건강한 정신력이 있는 만큼 아이들에게 너무많은 것을 주는것이 한편으로는 많은 것을 빼앗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에 육아를 하는 부모들이 이 책을 보며 조금은 다른 방향의 육아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생각을 해보았으면 하는 바램이 들었다. 나또한 곧 육아를 시작할 입장으로서 어느것이 아이를 위한 것인지 좀더 생각해보는 책이었다.

 

 “어쩌면 아이에게 관심을 덜 기울이고, 어른이 감독하는 온갖 종류의 활동 없이 아이를 놀게 하면 아이가 더 행복해지고 더 행복한 어른으로 자라날지도 모른다.”29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