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 - 역사학자 이덕일, 공자와 논어를 논하다!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인생의 논어, 그 사람 공자>는 요즘 팍팍한 시대에 깨달음을 주는 공자의 삶과 그의 삶을 보여주는 논어에 관한 이야기이다. 단순히 공자의 삶과 논어를 해설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논어 한 구절 한 구절을 곱씹으며 한국사 전체를 망라하는 사찬이라고도 할 수 있다.

 

 논어하면 유명한 한 구절이 떠오른다.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 이는 여전히 우리의 삶에도 적용된다. 지식이 범람하는 세상 속에서 지식에 매몰되지 않고 선택해서 즐긴다면 그만큼 그 지식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저자는 정조가 가진 호기심에서부터 이 구절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단순한 구절로 보이는 이 문장도 어렵게 설명하려는 해설이 있다고도 덧붙이고 있다. 이를 보면서 처음 고전을 접할 때의 마음으로 돌아가 본다. 처음에는 속독으로 책을 읽고, 덮고는 뜻을 헤아리지 않는다. 그리고 얼마가 지난 후(몇 해가 될 수도 있다.)다시 책꽂이에 꽂힌 책을 꺼내 읽으면 !’하는 깨달음이 있을 때가 있다. 이는 당시 삶의 상태에 따라 고전은 새롭게 다가오는 것이다. 이처럼 논어를 접한 과거의 위인들도 깨달음을 구하려고 했다는 걸 저자가 보여주려고 한 것이 아닐까. 저자는 단순히 이 한 구절만이 아니라 논어 전체 문장 속에 담긴 의미를 하나씩 되새기고 있다.

 

 공자가 살던 시대에는 공자는 많은 제자를 가졌지만, 그가 진정으로 얻고자했던 것은 얻을 수 없을 만큼 세상에서 빛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몇 해 전부터 공자의 삶에 주목하고 그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저자 또한 책을 통해 그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우리도 지금 공자를 통해 과거를 배우고자 함이 아닌가.) 공자는 그 이유를 지나간 것을 알려주었더니 닥쳐올 것까지 아는구나.’ 라고 하였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안다는 것이다. 우리도 그런 것이 아닐까. 공자를 통해, 그의 삶을 통해 좀 더 나은 미래를 살기 위해서 말이다.

 

 현재의 삶이 팍팍하고 실패를 거듭한다는 생각을 하는 분들께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공자 같은 훌륭한 위인도 자신이 원하는 일을 이루지 못했어도, 올곧게 살아갔노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