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각본
김지혜 지음 / 창비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이 견고한 각본 같다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의 가장 첫 문장이다. 저자는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딸 또는 아들로서의 역할을 기대받고, 성인이 되면서 아내와 남편, 어머니와 아버지, 며느리와 사위 등의 역할을 맡는다”고 말하며 성별에 기반한 가족 언어와 행위를 비판하며 이를 낱낱이 파헤친다. 남자 며느리, 고정관념이 만들어낸 성별에 따른 역할, 동성애와 저출생 문제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우리가 문제를 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한다.

페미니즘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고 나서부터 여성으로 태어나서 받는 차별과 불편함, 그리고 억압받는 감정에 이름을 붙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외부의 영향이 있다면 내가 느끼는 감정에 이름을 붙이고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찾을 수도 있다. 이처럼 이 책을 읽는다면 우리가 미처 간과했던 사회의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고 그것을 뒤집어 엎고 싶은 욕구가 고개를 들고 이 문제를 옳게 고칠 수 있는 방향을 찾게 된다. 저자가 물어온 것처럼 나도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이제 우리, 가족각본을 벗어날 때도 되지 않았나요?

📎 성별에 따라 정해지는 이 모든 가족질서는 ‘자연스러움’과 거리가 멀다. 인위적으로 정교하게 기획해놓은 틀에 사람을 끼워 맞춘 것이지, 사람의 본성에 충실하게 만들어진 질서라고 할 수 없다. 근본적으로, 왜 가족제도가 남성을 중심으로 발달해야 했을까? 전세계적으로 나타난 이 현상에 대해 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현재로서는 명확한 답이 없다”고 말한다. 남성이 힘이 더 세다거나 공격적이라는 것은, 실제로 사회적 능력이 신체적 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험적 증거라기보단 신화에 가깝다. 마찬가지로 왜 여성이 복종하는 지위에 있어야 했는지에 대해서도 합당한 설명이 없다. 유교에서 남존여비는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교리였다. 남자는 하늘이고 여자는 땅이라는 말로, 남자는 높고 여자는 낮은 것이 “자연의 이치”라고 했다. 그러니 여자는 남자를 따라야 한다며, “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삼종지도의 도덕규범이 나왔다. 이제 모든 사람이 평등함을 원칙으로 하는 시대에 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원리로서 더이상 유효하지 않은 규범이다.

📎 2016년 행정안전부는 전국의 가임여성 분포를 보여주는 가임여성 지도‘를 발표했다. 지역별 저출생 대책을 도모하는 취지라고 했다. 하지만 가임여성을 숫자로 전시하는 이 지도는 암묵적으로 출산을 종용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의도는 아니었다지만, 마치 여성이 인구 생산의 임무를 가진 것처럼 ’당신이 아이를 낳아야 모두가 산다‘고 하는 무거운 압박을 느끼도록 했다. 한 개인의 삶에서 출산이란 인생을 조망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 어려운 일인데, 그런 결정을 두고 애국심 내지 시민의식을 시험하는 듯한 부담을 주는 정책의 단면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