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소신, 두 번째 이야기 - 흔들리는 마음과 주변의 편견으로부터 아이와 나를 지키는
이지영 지음, 소소하이 그림 / 서사원 / 2023년 10월
평점 :
난이도 : 하
추천: 소신 육아하고 싶은 사람,
아이 키우는 부모,
육아 졸업한 선배에게 노하우 듣고 싶은 사람
저자는 이미 여러 권의 책을 출간했는데요.
엄마표 영어를 해서 유명해졌나 봐요.
[엄마의 소신] 첫 번째 책은 읽어보지 못했는데요. (밀리에 있어서 읽어보려고요)
엄마표 영어를 하면서 아이를 키울 때 느낀 내용이지 않을까? 추측은 해봅니다.
이번 두 번째 책은 아이들이 어느덧 대학생이 되면서 육아의 마침표를 찍었더라고요.
이 책은 글이 길지 않아요. 산문집 같은 느낌을 가지고 있는데요.
자기 계발서나 인문학 책들을 많이 봐서인지 설득하기 위한 한 꼭지의 분량이 두 페이지가량 꽉 채워 있는데요. 저자의 글은 저의 고정관념을 깨줬어요.
이 책이 육아하는 엄마에게 위로도 되어주지만, 글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새로운 방향을 알려주기도 하네요. 제가 글쓰기에 관심이 있어서 그렇게 느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교육관, 육아관이 제대로 없는 사람에게 힘이 되어 줍니다.
-속 썩지 않는 부모는 없어요.
완벽한 아이도 없어요.
-공부가 하고 싶은지, 예체능이 하고 싶은지는
아이가 결정할 문제이고
부모는 아이가 관심 두는 분야에 대해
넓게 알아보고 알려주는 역할만 하면 되는 거지요.
-공부하라고 다그치진 않지만
필요한 정보는 늘 알아보고 기억해두려고 합니다.
좋은 의논 상대가 될 준비는 되어 있어요.
시험 기간이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찾으면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엄마가 되어주고 싶습니다.
-사교육을 많이 시키지도 않지만
중요하다는 고등 시기에 국어 잘하는 큰딸은
고3 때 국어 학원을 보냈고
수학 잘하는 작은 딸은
수학 과외를 시키는 이유입니다.
자존감의 문지니까요.
-"성적 떨어졌으니 이제부터 학원 가!"라는 말은 관심의 시작이 아니랍니다.
공부를 왜 하는지
아이에게 대학은 어떤 의미인지
아이는 지금 어떤 상황인지
아는 것부터 시작해봐요.
#도서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