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년 전 중국의 일상을 거닐다
카키누마 요헤이 지음, 이원천 옮김 / 사계절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책 속의 인물, 배경, 사건과 어우러져 그 속으로 잠깐 여행을 다녀온다. 특히 역사책을 읽을 때에는 세계 여행으로는 느낄 수 없는 저 먼 시대의, 완전히 새로운 생각과 관습을 가진 사람들과 만나고 온다.

이 책을 덮었을 때 나는 한나라로 들어가 유방, 번쾌와 함께 술잔을 기울인 듯, 돗자리장수 유비와 함께 장터를 떠돌다 온 듯한 생생함을 느꼈다. 노학자의 방대한 지식이 하나의 세계를 눈앞에 가져다 준 듯했다.

이 글을 읽다보면 마치 한나라의 현성이 우뚝 서고 지나가는 사람들의 모습과 말소리가 들리고 심지어 그들이 품은 향낭에서 나는 냄새까지 생생히 느껴질 듯 했다.

이 책을 읽고 다시 삼국지와 초한지를 펼쳐 들었을 때 그 속의 인물들이 조금 더 그 시대의 모습을 한 채 생생히 그려졌다. 그동안 읽었던 삼국지 연의의 내용이나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만화의 그림체들은 한나라 당시가 아닌 송나라풍의 모습이 강하게 느껴진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

-조조가 동탁을 찌르기 위해 보검을 뽑았을 때 한나라 때로 묘사한다면 조조는 돌아가면서 이미 들켰을 것이다. 도주하기 위해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의심많은 동탁의 의심을 사거나 아니면 허둥지둥 도망가다 신발을 미처 제대로 못 신은 상태에서 여포를 마주친다면 여백사를 만나기 전에 이미 주살당했을 것이다.

- 반면 연의에서 손권이 술 마시고 횡포를 부리거나 여몽이 연회 중 술마시다 죽는 장면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격한 주령과 예의가 지배하는 그시절의 연회에서는 몸 상태가 좋지 않았음에도 억지로 술을 마시다 사고를 당하는 사람이 많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주령과 주도를 정해서 그동안은 자기와 격의 없이 내지 너나들이하며 술먹던 공신들이 엄격한 예절에 따라 술자리에 위계질서가 생기자

"이제야 황제 할 맛 나는구나." 하는 한 고조 유방의 모습이 떠올라 미소가 떠오르기도 한다.

- 황제의 면복을 묘사한 장면에서는 종묘 제례 때의 구장복이 생각났다. 그렇게 오랜 세월 전으로부터 거의 변하지 않은 복장은 여전히 남아 지존의 지엄함을 상징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고대 중국의 이러한 모습들을 보면서 그들의 생활양식이 오호 십육국 시대부터 서서히 입식으로 바뀌기 시작한 중국보다는 좌식생활의 흔적이 남아있는 한국과 일본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삼국시대를 다룬 사극이나 소설을 쓰는 사람들도 한번 필독했으면 좋겠다.

이 책은 비록 이천년 전 중국을 담고 있지만 낯선 듯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낯설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 책에 보이는 생생한 모습들을 보고 나서 삼국지 연의에 송나라의 모습이 묻어나듯 우리의 사극들에도 내심 조선시대의 모습들이 많이 묻어난다는 것을 느꼈다.

이렇듯 생활사에 대한 책들이 많이 나오는 것은 너무 기쁘게 생각한다. 고대 중국의 생활에 대해 궁금하거나 삼국지, 초한지 등 한나라 시절을 다룬 책들을 알고 싶거나 고단한 현실에 지쳐 도저히 여행갈 짬이 없을 때 고대 중국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여행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이 글은 부흥카페 서평이벤트(https://cafe.naver.com/booheong/221865)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