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히틀러의 아이였습니다 - '레벤스보른 프로젝트'가 지운 나의 뿌리를 찾아서
잉그리드 폰 울하펜.팀 테이트 지음, 강경이 옮김 / 휴머니스트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결국 하인리히 힘러가 생각했던 레반스보른의 결과는 워해머40,000에 나오는 '스페이스 마린'을 생각하지 않았나 하는 것이다. 스페이스 마린들과 같이 유전적으로 건강하고 순수하며 독일 민족의 강인하고 두드러진 특성을 바탕으로 한 거대한 지배자군단. 하지만 그의 프로젝트는 그러한 거창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실패했다. 책에서 언급했듯 그가 생각한 위대한 독일민족의 '백업데이터'들을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어떠한 후속조치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 목표가 옳은 것인지는 둘째치고라도 수많은 학자들과 인력들을 동원한 작업임에도 대단히 주먹구구의 오로지 외모적 기준으로만 '민족 독일인'을 분류했기 때문이고 오로지 어떠한 혜택이나 보상도 없이 심지어 위탁하여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육아법에 대한 교육도 없이 방임에 가까운 형태로 위탁해 버렸다는 점에서 이 프로젝트는 시작에서 부터 결과에 이르기까지 애초에 파멸로 달려가고 있었다.

그의 위대한 수식어에 맞는 최고의 교육도, 최고의 양육도, 최고의 기회도 주어지지 않은채 아이들은 버려지다시피 방임되었다. 그는 농학을 전공했음에도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좋은 유전자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자라기 위한 요건들도 중요하다는 것을.

 

잉그리트 폰 욀하펜(에리카 마트코)가 살아왔던 생애와 그녀가 그녀의 과거를 찾아가는 과정을 담담히 따라가고 있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바라보게 하듯 잉그리트의 인생과 의문들에 이입되면서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범죄에 대해서 다시 한번 바라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큰 범죄는 바로 그러한 어린 아이들에 대한 사랑의 부재였다. 특히 '민족 독일인'의 꼬리표를 달고 각 가정으로 입양된 이들에 대해 나치는 그냥 단순히 입양만 했을 뿐 이 아이들이 잘 자라도록 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다만 그 양부모에게 의무만 부과했을 뿐, 힘러는 인간을 동물처럼 생각하고 '브리딩'함으로서 인간성 자체를 박탈해버렸다.

 

이 책은 잉그리트가 겪었던 힘든 삶과 '부모의 사랑의 부재'의 이유를 찾아가고 있는 책이다. 결국 '과학적 인종론'을 주장했던 나치의 미신에 맞서 '유전자 검사'라는 과학이 그녀의 과거를 찾아냈다. 실제로 겉모습은 유럽인에 가까운 헝가리인들과 가장 유전적으로 가까운 민족이 바쉬키르족인 것처럼 유전적 형질과 외모는 일정한 연관은 있겠지만 그것이 백프로 증명하지는 못한다. 결국 나치의 광기가 낳은 하나의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이 책은 전체주의와 허상적 민족주의가 한 사람에게서 뺏어간 사랑과 과거에 대한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