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까지 나의 메이지 유신에 대한 대략적 개념을 잡아준 책은 최승표의 메이지 이야기와 굽시니스트의 한중일 세계사였다. 둘 다 좋은 책이지만 너무 넓은 관점으로 바라보아서(물론 번정으로 인한 여러 번 들의 난립하는 상황에서 정해진 기준 안에 다 넣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서술이겠지만) 사쓰마, 조슈 등 외번들이 막부를 몰아내고 신정부를 세우는 과정에 대해서는 사건들을 대단히 재미있고 흥미롭게 묘사하였지만 인물들 자체에 대한 서술은 표면적 행위를 위주로 캐릭터를 잡아서 조금은 피상적이라 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박훈 교수님의 '메이지 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에서는 인물 위주로 접근하게 되어서 메이지 유신을 이끈 사무라이들의 좀더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 인물들이 왜 이러한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를 이들의 성장배경과 읽어온 책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엮어낸다. 마치 시바 료타로의 '료마가 간다'를 보는 듯했다.

하지만 반대로 이 책만 읽는다면 자칫하면 메이지 유신을 지나치게 개인화된 관점들에서 보게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건들을 바라보는 개인들의 관점도 새로웠지만 요시노부와 가쓰 가이슈 등 막부가 진행했던 근대화 노력들이 나오지 않아 조금은 지엽적이고 편협한 관점에서 보게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지금껏 읽어왔던 책들에서는 요시다 쇼인을 유신의 인재들을 길러낸 스승, 깨어있는 인물 이정도의 서술밖에 없었기에 유신을 일궈온 그의 사상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이 책은 각각의 인물들의 시점으로 막말 유신기를 바라보는 상황에서 요시다 쇼인의 사상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있다. 특히 울릉도와 만주 등으로 팽창해야한다는 쇼인의 시각은 조슈번벌 출신들이 왜 그토록 집요하게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고 싶어했는지에 대한 실마리가 되었다.(물론 메이지이야기에 나오듯 멕켈 대령의 '한반도는 일본을 향해 뻗은 대륙의 주먹'이라는 말도 있겠지만)

요시다 쇼인이 그동안의 매체들에서 나오던 급진적 사상을 전하지만 온화한 스승의 모습이 아닌 다소 과격한 주장을 하고 실제로 온갖 의거활동 및 테러활동의 조짐을 보여서 막부가 처형한 것을 보여주어서 새로웠다.(물론 만화 '은혼'에서는 두 모습을 다 보여주긴 한다.)

확실히 메이지 유신에 대하여 책마다 공통적이면서도 다른 서술을 하긴 하지만 읽을 때마다 좋아하는 인물이 바뀌게 되는 듯하다. 최승표의 메이지 이야기를 읽을 때는 시마즈 요시아카라나 도사의 야마우치 요도가 좋았지만 굽시니스트의 한중일 세계사를 읽을 때는 소탈한 사이고 다카모리가 좋았다. 하지만 박훈 교수님의 '메이지 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을 읽고 나서는 그동안은 음흉하고 그늘져보였던 오쿠보에게 관심이 가게 되었다.

확실히 유신기를 보여주는 좋은 책이긴 하지만 메이지 유신에 대한 넓은 시야를 보여주는 책들과 같이 읽어야 시너지를 보이는 책인 듯 하다. 마치 대학교 전공서의 각론서를 보는 듯 하다. 그 자체로 좋은 책이긴 하지만 그 자체만으론 이해하기 힘들고 총론서와 같이 봐야 이해가 쉬울 듯하다.

본 서평은 부흥 서평이벤트(https://cafe.naver.com/booheong/199699)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