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른 청춘
마츠모토 타이요 지음, 김완 옮김 / 애니북스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마츠모토 타이요는 일반인에게보다 만화가들 사이에서 더 잘 알려진 작가다. 그의 팬을 자처하며 영향을 고백하는 만화가들만도 벌써 여럿 봤다. 비교적 높은 인기로 영화화까지 진행된 <핑퐁>같은 작품을 보면 그 팬심이 십분 이해되고도 남음이 있다. 칸을 찢고 튀어나올 것만 같은 역동적인 동세연출은 확실히 독보적이다. 게다가 주로 두 명의 주인공이 짝을 이뤄 갈등하며 엮어내는 스토리 라인의 긴장감도 작가를 범상치 않은 범주에 포함하도록 만드는 힘이다.
<철콘 근크리트>, <제로>, <고고 몬스터>, 최근에 소개된 <넘버 파이브>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연출과 이야기의 짜임새는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물론, 작품들이 비슷비슷하다는 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말이다. 오히려 <넘버 파이브>에서는 ‘마츠모토 타이요가 너무 멀리까지 나가는 것이 아닌가’하는 독자들의 조바심이 있을 정도였으니까.
애니북스에서 <푸른 청춘>이 나왔다. 근 10년 전에 해적판으로 출간됐던 것을 판형을 키워 새롭게 냈다. 1993년 작품으로 비교적 초기작이다. 게다가 단편집이다. 국내에 번역된 대부분의 작품을 봐왔지만 단편은 처음이다.
불량청소년들의 우울한 청춘 군상을 그려낸 일곱 편의 단편들은 ‘가장 마츠모토 타이요 다운 작품’이라는 홍보문구가 전혀 어색하지 않다. 초기작이고 단편인 만큼 이후의 작업들의 원천소스를 접하는 것 같은, 거꾸로 된 기시감마저 든다. 풋풋하고 거친 듯하지만 에너지가 넘치는 작업들이다.
제일 앞에 실린 ‘행복하다면 손뼉을 치자’에는 학교 옥상 베란다의 바깥쪽에 서서 손을 놓은 채 누가 더 손뼉을 많이 치는가를 겨루는 ‘베란다 게임’이 나온다. 무료한 날들이 계속되는 와중 게임의 2인자는 신기록을 세우고 옥상에서 떨어져 ‘멋있게’ 죽는다. 가히 향후 ‘마츠모토 타이요 월드’에 등장하게 될 갈등하는 히어로들의 원형이라 할만하다.
상식을 허용하지 않는 초현실적인 풍경들의 나열은 마츠모토 타이요의 세계에서는 일상과도 같다. 단순무식한 추격전의 끝장을 보여주는 ‘끝장이네 이거’의 경우, 달려서 지하철을 따라잡는다든가 차에 치여 머리가 깨어졌는데도 벌떡 일어나 추격을 계속하는 등 말도 안 되는 추격전 자체가 아니라 추격전을 드러내는 연출방식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리볼버’에서는 우연히 권총을 손에 넣게 된 삼인조가 총으로 인해 좌충우돌하다 바닷가에 가 러시안 룰렛을 벌인다. 이유는 단 하나, ‘살아있다는 긴장감을 느끼기 위해서’다. 단편집을 지배하는 가장 커다란 정서는 권태다. 단지 권태를 벗어나기 위해 주인공들은 베란다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손뼉을 치고, 톨루엔(환각제의 일종)을 물고 다니고, 이유 없이 폭력을 휘둘러 대고, 패밀리레스토랑을 순회하며 시간을 죽인다.
작가는 후기에서 학창시절 불량청소년들과 어울리며 그들의 사진을 찍던 에피소드를 공개한다. 불량청소년들은 하나같이 사진 찍는 것을 매우 즐겼는데 작가가 사진을 신경 써서 찍을라치면 씨익 웃어대며 ‘괜찮으니까 그냥 찍기나 해라’고 쑥스럽게 이야기하곤 했다는 거다. 작가는 이에 대해 “현재를 이미 과거의 것으로 생각하는 그들에게 카메라라는 아이템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도 이해가 갑니다.”라고 밝히고 있다. 푸르지만 우울한 청춘, 불투명한 미래와 빠르게 과거에 잠식당하는 현재 사이에서 출구를 찾지 못하고 분출하는 감정들. 이 모두를 아우르는 것은 압도적인 권태다.
전혀 의미 없어 보이는 대사들의 남발이라든가, 직선 따윈 용납할 수 없다는 듯 자유분방한 그의 선, 자칫 과잉으로 보일법한 연출방식 등이 낯설지도 모르지만 그 낯설음을 거슬러 올라가면 당신도 마츠모토 타이요 월드의 시민이 될 수 있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