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누구나 사랑을 받기을 원한다.영원한 사랑이 아닐지라도 먼훗날 기약없는 사랑에 이별을 고한다고 해도 사랑을 하면 치유될것 같은 믿음이 있기에 사랑을 시작하고 싶은것이 인간이 아닌가 싶다.
『지금 사랑하지 않는자 모두 유죄』라는 책속에서도 저자인 노희경의 사랑을 알아가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새롭게 마음을 매료시키는것 같다.
저자의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많은 이웃들를 소재로 쓰여진 그 나름대로의 사랑의해법인 틈틈히 쓰여진 노희경 에세이집은 톡톡 튀는 매력을 발산하며 그만의 세상에 삶을 놓아두고 좌충우돌을 하며 희비가 교차선상에서 웃음과 슬픔을 송두리체 간직하는 느낌이 든다.
"사랑하기에도 부족한 시간"에 그들이 만들어 놓은 분노를 표출하는것를 그는 되고 싶지 않으리라.한바탕 고난속에 피눈물이 그를 가파르게 뭉그러진 육체을 내민다고 해도 필연 그는 사랑의 치유력으로 희망의 꿈을 만들어 갈것처럼 느껴온다.
"한편의 드라마가 그의 인생의 삶이다"
"사랑은 또 온다.사랑은 계절 같은거야.지나가면 다시 안 올 것처럼 보여도 겨울 가면 봄이 오고, 이 계절이 지나면 넌 좀 성숙해지겠지.
눈빛 하나로 삶의 사랑을 보듬을수 있다면 그 k양이라 부르며 엄마를 대입시켜 부를수 있다면 말로는 꾸짖어도 서로 격없이 놀려하는 편안함속에 당신은 드라마속에 주인공이 연애를하고 이별하고, 죽음을 맞고, 배신하고, 후회할때 당신은 언제나 조언자 일것이다.
저자의 이십대의 방황으로 빚어진 모든 것들은 여파로 낙오자일것만 같았던 삶이지만 가난과 상처. 사랑과 아픔에 감사하고 그런 아픔역사들이 자신의 감각적인 작가라는 평을 받게 만든 드라마속에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그로인해 아픔을 감사하며 치유되어감으로인해 꿈속에 희망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것들이 아름다운 세상으로 만들어 가는것 같다.
"창조는 하지 않으면 작가가 아니다"
풍부한 삶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 그는 모든것을 본따려고 애쓰는 모습, 현실 도피적인 드라마처럼 살아가는것은 수단일까?
조엔의 오십 뜬금없는 남편과 별거 인간과 인간의 헤여짐은 서로의 가치관의 문제일수도 있고 운명적인 문제.사랑이 모자라서문제가 될수가 없다는 그의 정의로 단지 각자의 한계라고 말한 저자의 행복과 불행.화해와 갈등.원망과 그리움.상처와 치유.이상과 현실.시작과 끝등 이런 반어적인것들은 결국은 한 몸으로 뒤엉켜 어지렵게 돌아가는것이 인생이라는것이다.
드라마처럼 해피앤딩으로 반전의 기회를 부여 받을수 있는 인생이 삶이라는것, 과거의 아픔은 승리자에게 추억어린 재산일지는 모르나 패배자엔겐 고통과 아픔을 되새기고 싶지 않은 역사가 아닌가.
역경이나 전이된 슬픔따위가 지금은 글감으로 자신을 위로한다는 비롯되여 인생이 고단할지라도 낙오자로써의 울분을 삼킬지라도 실패뒤에 남은 긴 이픈기억들은 작가로써는 좋은 주제이고 엄마의 품안에서자란 아의 자신이 그를 위암으로 떠나보내고 "이제 너는 어떻게 살례?"라는 그의 마음어린 태도는사랑의 열정을 반복해서 느끼고, 삶의 실패를 반복해서 순수적인 사랑의 전부라는 사람들을 피해가고싶픈 서로의 동등한 관계로 삶에서 자리매김할때만이 설레임이 싹트고 저자의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속에서 "한"은 자신의 "한"으로남고 나의 "싸구려 효도"에도 감동하는 어머니의 마음들이 돌아가시고 난후의 어머니가 나의 전부라고 느껴지지 않이할수 없을것이다.
그의 작품속에"해페 투게더"."화상연화" 속에서 사랑후 결별 사랑하면 안될 사람은 사람해 가는 소위 불륜의 스토리들은 끝임없이 상대에게 죄의식으로 가지고 고통의 부각해 동정을 받아내고 그로인해 자비로울수 있다면 타당한것인가 나도 모른일이다.부도덕한 것들이 어떤이유로 정당화되는지를..
"글은 마음으로 쓰는거야"드라마작가로써의 드라마의 존재의 이유는 트라이와 액션 그리고 코미디 섹슈얼이즘으로 인식이되고 ,그 누구에게나 아픔 기억은 필요하다.내가 아파야 남의 아픔을 알수 있고 패배해야 패배자의 아픔마음을 달랠수 있기 때문이다(아픔의 기억은 많을수록 좋다)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