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 - 의미로 읽는 인류사와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1
이도흠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

 

2000년대 들어와서 우리들이 가장 많이 듣고 사용하는 말이 4차산업혁명이 아닐까 생각한다. 4차산업혁명시대 어떻게 준비하고 실천하느냐에 따라 21세기이후 미래사회를 누가 이끌어나갈 것인지 결정될 것이다. 서구 사회가 산업혁명을 통해 세상을 이끌어 나가는 주체가 되었듯 그래서 역량있는 모든 나라들이 발빠르게 대응해 나가고 있는 것이 지금의 상황이다. 이렇듯 중요한 시기임에도 실제 4차산업혁명이 무엇인지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전체적인 시각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기 보다는 그저 단편적인 조각조각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이도흠교수의 [4차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4차산업혁명시대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의미가 깊은 저작이라 생각된다.

실제 우리가 생각하는 4차산업혁명은 단순히 산업현장만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인류사 전반에 걸쳐 우리가 알고 있는 아니 알아왔던 모든 것을 뒤집어엎는 전 지구적 변화를 의미한다. 그래서 용어 자체도 4차산업혁명시대가 아니라 혁명의 시대라고 불러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인류가 어떤 발전과정을 거쳤는지 단순히 도구의 발전과정을 통해 인류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700만년전 인류가 걸어 온 발자취가 가지는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은 색다른 파악이 아닌가? 지금 4차산업혁명를 진행해 나가고 있는 현재, 인류에게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단순히 어떤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지로 파악하는 것보다 지금의 우리 사회현상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되어진다.

현대 사회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사회가 아니라 통합과 협력하는 사회로 점점 나아가고 있다. 4차산업혁명을 인문학자의 시선으로 분석하고 그 내용들을 자연과학에 잘 접목한다면 인공에 의해 인류가 소외받지 않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 [4차산업혁명과 대안의 사회]가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