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이 뭐라고 - 깨달음이 도대체 내 인생에 어떤 도움이 된다는 거죠?
고이데 요코 지음, 정현옥 옮김 / 불광출판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깨달음이 뭐라고

 

중학교때인가? 반야심경을 외우려고 잠자기 전 노트위에 한자, 한자 열심히 쓴 기억이 난다.

뭐 딱히 불교신자도 아니었는데 왜 하필 반야심경이었을까? 독실한 불교신자인 어머니의 영향이었을까? 하지만 생각만큼 잘 외운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마하반야바라밀다로 시작되는 앞부분은 기억에 잘 남아있다. 더욱이 불교방송에서 우리말 반야심경을 광고시간에서 낭송을 해 주어 반가웠던 적도 있다. 그렇게 불교와 가까워지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하면서 지내온 시간이었다.

-깨달음- 언제나 매달리는 말이었지만 한번도 느껴본 적이 없다. 깨달음은 거창하니까? 평범한 나는 가까이 할 수 없다는 마음속 경외감이 너무 컸기 때문이었겠지.

[깨달음이 뭐라고]의 저자 고이데 요코는 이런 경외감에 반기를 든다. 특별한 수행을 거치지 않아도 일상의 삶속에서 깨달음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진짜 그럴까? 평범한 일상에서 깨달음을 느낄수 있을까? 평소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해온 여섯분의 스님을 찾아 깨달음이 무엇인지 평범한 일상의 삶에서 얻을 수 있기는 한지 스님에게 묻는다. 긴 시간동안 수행을 해온 여섯분의 스님들은 이제까지 수행해 왔던 깨달음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친근하게 들려준다. 여섯분의 스님들이 불교라는 같은 틀속에서 수행을 해 왔지만 각자의 개성과 생각에 따라 나오는 대답은 다양하지만 크게 다르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평소 깨달음은 혹독한 수행을 거친 특별한 경지에 이른 존재만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오미네 스님의 진실된 말을 듣고 그에 따라 인생을 살아가라는 말이 크게 가슴에 와 닿았다.

평소 우리 불교의 연륜과 수행의 깊이가 깊어 여타 다른 나라의 불교에 대해 무관심해 왔다. 특히 일본불교에 대해서는 우리를 통해 불교가 전파되었고 더욱이 일제 식민지시절 스님들의 수행에 많은 나쁜 영향을 미쳤다는 이유로 애써 외면해 왔다. 하지만 불교학적인 측면에서 그들의 역량은 그렇게 낮은 수준이 아니다. 그래서 일본 스님들의 깨달음에 대한 이야기가 반가웠다. 주제는 어려울지 몰라도 스님들의 말씀을 즐겁게 들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