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쿠다 히데오의 올림픽
오쿠다 히데오 지음, 임희경 옮김 / 작품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읽고 이렇게 서평을 쓸때쯤이면 항상 고민을 하는 것이 있다. 내가 과연 어떤 책이든 재미있게 읽었는가. 하는 부분이다. 사실 언제나 그렇지도 않고 정말 별을 10점 만점을 주고 싶은 책들은 가끔씩 나타난다. 그럴때는 하늘에서 별을 딴 것 마냥 기쁘지만 또 그렇지 않은 경우도 허다하다.

 

<오쿠다 히데오의 올림픽>도 고민과 실망이 교차한 작품이다. 이미 <방해자>, <공중그네>, <남쪽으로 튀어> 라는 작품으로 국내의 굵직한 팬을 보유하고 있는 작가란 타이틀 만으로 책을 선택했었다. 사실 우리가 소설을 선택할때에는 작가의 이름을 먼저 보는 것이 순서가 되버린지 오래이다. 그만큼 '믿음직'하다는 말이다. 워낙에 시니컬한 말투와 그만의 독특한 이야기 방식이 매력적이었는데, 왠지 이 <올림픽>만은 예외가 된 듯 하다. 즉, 내용도 오쿠다 히데오가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을 다녀온 '관전기'였다. 오, 그래도 멋지고 재미있는 사건들이 있지 않을까? 했는데.. 특별한 사건이 있다고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다만 이 책을 '여행서적'으로 보면 좋을 것이다.

 

문제는, '올림픽'이라는 것이다. 올림픽은 자국의 나라를 응원하는 '애국'의 마음이 깃들어 있다. 또한 스포츠 경기이다 보니까 전문적인 스포츠 용어, 스포츠 장면의 영상화가 필요하다. 이 책은 저자 자체가 일본인이다보니까 아테네 올림픽을 가서 일본의 유명한 선수들을 응원하는 형식이다. 일본이 가장 자신있어하는 유도를 비롯하여 야구, 축구, 농구, 마라톤 등이 나오는데, 일본의 유명한 스포츠 선수를 전혀 모르는데다가 나는 어느정도 야구 용어를 알지만, 모르는 사람이 보면 참 답답하겠다라는 생각이 계속 스쳤다. 어느 포인트에서 웃어야 할지, 또는 어느 포인트에서 공감을 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고 할까. 만약 한국인이 쓴 우리 올림픽의 이야기였다면 상황이 달랐을 수도 있다. 우리나라의 양궁 이야기라거나, 레스링, 박태환, 장미란, 야구팀 등등 내가 알고있는 어떤 이들, 올림픽의 감동 장면들 이야기였다면 나도 꽤나 감동을 먹으면서 읽지 않았을까.

 

이 책은 아무래도 오쿠다 히데오 자신을 위한 자신의 이야기이자, 올림픽에 함께 열광했던 일본 자국민들을 위한 에세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이 오쿠다 히데오식 소설을 기대했다면 이 엄청난 실망감은 어찌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