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정도전 1 - 하늘을 버리고 백성을 택하다 ㅣ 정도전 1
이수광 지음 / 쌤앤파커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정도전. 그 이름만 들어도 바로 떠오르는 것은 조선 건국이라는 이 큰 틀. 그 틀을 갖추기 위해 고군 분투한 비운의 재상, 정도전의 책을 읽었다. 역사 속에서 그렇게 큰 이름을 많이도 봐 왔지만, 조선 건국의 1등 공신이며, 제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했다는 것 이외에 아는 것이 별로 없었다. 그것은 우리 나라의 한 사람으로써 부끄러워 할 일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만났으니 이것은 참으로 영광이 아니던가! 그 영광을 재현한 것이 <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연애사건> 과 같은 팩션 역사서를 낸 저자 이수광이다.
이 책도 '장편 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내걸었다. 항상 역사 소설들을 읽을 때마다 고민을 하곤 한다. 과연 어디까지가 역사이고 어디까지가 픽션인가. 그 해답을 알기엔 아직 나의 역사 지식이 부족한 탓일지도 모르겠지만, 덕분에 술렁 술렁 읽을 수 있는 역사책을 만나기도 한다. 이 책도 이와 같다. <정도전>은 상, 하로 나누어져있는데, 상(上)에서는 이미 건국된 조선에서 이성계가 초대 태조 왕으로 군림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이때 이미 정도전은 최고의 권력가로써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치열한 권력 싸움을 하던 중이다. 이방원은 원래 지나치게 호방하고 욕심이 많은 타입이긴 하지만, 1차 왕자의 난을 생각하면 너무 했다 싶은 생각이 한두번이 아니다. 그래도 내가 존경하는 세종대왕님의 아버지라는게 그저 신기할 뿐이지만. (이 책에서는 거기까지는 나오지 않는다) 어쨌든 이 소설의 중심 축을 이루는 것은 이방원과 정도전의 혈투. 그것이 시작과 끝을 이룬다.
그리고는 세월을 거슬러 조선이 아직 건국되기 이전, 고려로 넘어간다. 정도전이 아직 어린 나이었을 무렵, 후에 이방원의 칼에 비참히 살해된 정몽주가 대가로 자리잡아 정도전의 존경을 받던 무렵으로 간다. 영화 <쌍화점>으로도 유명한 공민왕의 문란했던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직 이성계가 고려의 힘이 되기 전, 정도전이 이성계를 찾아가는 이야기 등등 굵직한 역사의 현장들이, 거대한 역사의 위인들이 하나같이 주마등처럼 소설을 지나간다. 엄청난 역사와 이야기가 단 두 권으로 스쳐 지나가는 것 같아서 빠르게는 읽히지만 아쉬움이 너무 많이 남는다. 뭐랄까.. 소설은 사건 중심으로 흘러가는 것이 맞지만, 그 사건 안에는, 플롯도 있어야 하고 긴장감과 위기감으로 독자들을 확 끌어당기는 무엇이 있어야 하는데... 이 소설은 그냥 역사책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런점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 아닐까. 처음부터 끝까지 감정과 느낌은 거의 동일하다. 유명한 사건들과 거사들이 계속 나열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 소설은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정도전 이야기다. 그렇기에 정도전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서 봐야한다. 정도전에 왜 그토록 건국을 바랬던 것일까. 정도전은 왜 비극의 인물이 되버린 것일까. 정도전은 백성들을 어찌 보았을까 하는 그 마음 씀씀이를 따라가야 한다. 그런 의미로 본다면 이 소설은 성공한 것이다. 너무 시원스럽게 읽혀서 부담이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