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박물관 1 민음사 모던 클래식 27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을 보았을 대 '순수' 박물관 이라는 이름에 혹했다. 어째서 나는 '순수'라는 단어에 이토록 이끌리는 것일까.

내가 순수하지 못해서일까. 아니면 세상이 순수하지 못해서일까. 둘 다라고 말하고 싶지만, 박물관과는 도저히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단어의 나열이 나를 이 책으로 이끌었다. 게다가 오르한 파묵의 책이다. <내이름은 빨강>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그 책은 상당히 놀랍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하고 그랬다. 우선 그 책을 통해서 그의 독특한 소설의 세계를 이미 안 터라 새삼 기대를 하고 보게 되었다. 게다가 작년에 터키를 여행하고 온 터라서, 터키의 소설을 읽을때 시원스럽게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기뻤다. 지명 등이 낯설지 않다는게 얼마나 큰 일인가!

 

하지만 그 책과는 많이 다른 느낌이다. 우선은 느낌, 소재가 많이 다르다. 무대는 저자의 지역이기 때문에 터키이고, 주인공 케말은 시벨이라는 여인과 약혼을 준비하고 있는 모든 것을 다 가진 남자이다. 이 남자에게 다가온 먼 친척의 매력적인 여인 퓌순! 퓌순과 처음 보자마자 사랑에 빠져서 둘은 격정적인 사랑을 나눈다. 단순한 키스에서 마음까지 모두 빼앗겨 버릴 정도로 사랑에 빠진 두 사람은 약혼식을 치르고 나서도 끝없는 열정으로 매혹되어버린다. 그 사랑은 점점 더 커져만 가고, 이 남자는 퓌순을 향해 전 인생을 건다.

 

사랑 소설이라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다가 읽으면서 푹 빠져드는 맛은 정말 역시, 연애소설이구나 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단순한 연애의 감정을 읊는데 지나지 않고, 케말의 변화, 퓌순의 설레임을 진지하게 품어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후에 그녀를 위한 '순수 박물관'을 만들기까지 그의 노력은 진정으로 '순수'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정말 이런 남자가 있다면! 이라는 생각과 함께 당시 터키의 결혼이나 연애에 대한 보수적 사고가 그들을 이렇게 만들었지 않았을까. 하지만 진짜 퓌순은 케말이 파혼하고 자기 곁으로 오기를 갈구하지 않았을까. 이미 다른 남자가 되버린 사람을 사랑하는게 얼마나 아팠을까.

 

많은 사람들이 사랑을 꿈꾸지만 순수하게 사랑하기는 너무 힘들다. 그리고 그런 실체는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것만 같다. 그래서 이런 소설을 가끔씩 읽으면서 마음을 뜨뜨미지근히 할 필요가 있기도 하다. 2권짜리의 두꺼운 책이지만 어렵지 않고 상당히 술술 읽혀서 읽는 내내 푸욱 빠졌다. 순수 박물관, 나도 가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