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용헌의 동양학 강의 1 - 인사편
조용헌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조용헌님의 책은 이번에 두번째이다. 처음 읽었던 책으론 <조용헌의 명문가>가 있었다. 그 책을 보았을 당시, 우리나라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꿈꾸며 역사와 세월의 흔적을 찾아 가치를 한껏 높여준 것이 인상깊었다. 특히나 이렇게 고전을 찾아서, 혹은 역사를 찾아서 그들의 흔적으로 배우는 이야기를 참 좋아하는 편이라 더 그랬는지 모르겠다. 어쨋든 그 책이 상당히 흥미로웠기 때문에, 이번에 큰 관심을 두고 동양학 강의 시리즈 1, 2 권을 읽게 되었다.
첫번째 책은 동양학 강의의 인사편이다. 이 책은 역사 속에서 눈여겨 볼만한 인물 중에서도 이름이나 역사, 사회상, 정치 분야로 나누어서 한 페이지 정도를 소개하고 있다. 그 중 사회편에서는 가족, 민속, 시사, 지역, 의식주로 나누어졌다. 문화편에서는 학문, 건강, 사고, 풍류 그리고 문명편에서는 기술, 유물 재물 로 분류되었다. 분류하는 기준이 모호한 경우도 많지만 이것은 크게 중요한 일이 아니라 여겨진다. 각각의 파트별로 소개된 주제들은 한쪽 정도를 이루고 있고, 그 한 쪽에 특별한 이야기들을 실어 우리를 고전과 역사의 세계로 인도한다. 그 인도된 길을 따라가다 보면 그로 인해 우리 현재를 고찰해볼 수 있는 길도 터준다.
인물편의 '추기경'을 보면 그 추기경의 어원을 찾아본다. 여기에서 '추'는 '지도리' 또는 '돌쩌귀'를 뜻하며 그것은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장치를 말한다고 한다. 그럼 이 중심은 어떤것이라 해아하는가. 문 밖은 자연이고, 문 안은 문명이며 그 문을 통해서 유와 무가 만나고, 삶과 죽음이 만날 수 있다. 그 사이길의 중심을 잡아주는 '추'에서 또한 북두칠성의 제일 첫 번째 별 '추성'을 말한다. 그로인해 우리는 '추기경'을 나라의 어른으로 모실 수 있는 힘을 이름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런 이야기들이 하나 둘 엮이다보니 그 깊이는 얕은 편이지만 두루 학식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사실, 모두 쉽지많은 않다. 아무래도 저자 자체가 동양학에 정통하신 분이고, 어려운 고어나 한자어도 종종 등장하기 때문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이것은 비단 나의 얕고 좁은 학식 때문일까. 비교한다는 것이 다소 무의미하지만 개인적으로 정민 저자의 책과 비교하게 되기도 했다. 그에 비해서 다소 '어렵다'라는 느낌을 받았다.
몇가지 이 책에서 흥미로운 편이 있다면 추기경편 이외에 '구라학'이 있었다. 구라(口羅)는 '입에서 비단이 나온다'라는 뜻으로 한마디로 '이야기'를 뜻한다고 한다. 세계적인 구라꾼들은 우선 여행도 많이 한다고 하면서 사기의 사마천과 일리아드, 오디세이의 호메로스를 소개한다. 물론 짧은 글이지만 '이야기꾼'이 되고 싶은 나에게는 상당히 흥미롭게 읽은 대목이었다. 여행. 나름의 멋진 여행을 언제나 꿈꾸는 나로써는 참 기분 좋은 구라학이 아닐 수 없었다.
1편을 읽은 후 2편의 천문편을 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