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차오르는 먹먹함은 마음 안의 엄마의 것이다.
엄마는 고개를 숙인다. 당당하지 못한 마음의 안쓰러움이 가득해서 엄마는 자꾸만 나에게, 아빠에게 고개를 숙인다. 숙이는 고개의 무게만큼이나 인생의 희로애락이 하도 그윽해서 엄마는 눈물을 흘리는 것만큼도 뒤돌아서서 훔친다. 남아있는 생선 가시를 발라내는 일 정도만 생각하고 있는 우리의 얕은 관심으로 그 눈물의 크기도 몰라봐준 것은 아닐까.
여기, <엄마를 부탁해>라는 책이 있다. 모두에게 입에 오르내리며 극찬을 마다하지 않았던 베스트셀러 작품이 있다. 때로는 ‘너’로 시작하여 때로는 ‘당신’을 말하고 ‘그’가 되기도 한다. 모두에게 존재하는 엄마의 잃어버림은 작가에겐 ‘너’도 있을 수 있는 일이고, ‘당신’도 ‘그, 그녀’도 모두 있을 수 있기에 독자들을 위한 배려심으로 던져본 듯 했다. 나는 안 그럴텐데! 라고 해봤자 소용없는 짓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너무 많은 사연과 가슴앓이가 그동안 고개 숙이며 살아온 엄마를 꽈악 안고 있어 보이지 않을 뿐이다.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로 이 구구절절한 이야기는 시작한다. 첫 문장에 울음이 팍 터져버렸다면 그 누가 믿어줄까. 아직 읽지도 않았는데 죄스러운 이슬이 뺨을 흘렀다면 지나친 낭만주의 탓일까. 엄마를 잃어버린 적이 없다. 그럼에도 그런 까닭은 ‘엄마’라는 단어 탓인 듯하다. 우리는 엄마를 ‘어머니’로 잘 부르지 않는다. ‘엄마’는 모어이고, ‘어머니’는 학습어라고 한다. 만일 ‘어머니를 부탁해’ 혹은 ‘어머니를 잃어버린 지..’라고 했었다면 그렇게 나를 비롯하여 독자들의 눈물을 뿜어줄 깊은 내면의 감정 그을림을 남기지 않았으리라. 그렇게 한 문장 한 페이지 쫓아가다 보니, 그렇게 잃어버린 엄마를 둘러싸고 있었던 자식들, 남편, 시누이의 ‘되돌아감기’ 과정으로 전개가 된다. 물리적 실체의 공간에서 진짜로 엄마를 길에서 ‘잃어버렸지만’ 사실 진짜 엄마를 잃어버렸다함은 그동안 자꾸만 내 기억 속에 존재하는 엄마를 ‘잊어버렸다’는 것이다. 자식들이 숟가락 부딪치며 밥 먹을 때 얼마나 행복해 했는지, 작가가 된 딸을 어찌나 자랑스러워했는지, 삼촌 균을 여의고 얼마나 고통스러워 했는지, 작은 딸이 선물해 준 밍크코트가 아까워 삼년 동안 얼마나 애지중지 했는지.. 그 모든 것을 잊어버렸다는 사실을 ‘잃어버리고’난 후에야 깨닫게 되는 것이다.
늘 그렇다. 늘 소를 잃어봐야 비로소 외양간을 고친다. 지금도 엄마를 떠올리면 이토록 가슴이 먹먹해지는 것을 왜 날마다 표현하지 못하는 것인가 하는 후회가 내 고개를 떨어뜨린다. 책의 표지에는 엄마들이 고개를 숙이고 있지만, 우리는 그 엄마의 고개 아래에서 엄마를 올려다봐야 하지 않을까. 그리곤 눈을 마주치며 흐르는 엄마의 눈물을 닦아줘야 하는 것은 아닐까. “엄마, 내가 있어요. 그러니까 울지 마세요”라는 말과 함께 연약하게, 쭈글 쭈글해진 손을 잡아주면 어떨까. 그럼, 소설에서처럼 엄마를 잃어버린 다음에 엄마의 이야기가 내부에 무진장 쌓여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암탉을 키워내고 고구마를 쉴 새 없이 심어 수확하던 모든 정성의 흔적은 모두 엄마의 것이었다. 그걸, 왜 아무도 몰랐을까. 이런, 또 계속 눈물이 흐르고 만다. 왜 몰랐을까... 왜 몰랐을까...
나도 엄마에게 이 책을 선물해보았다. 나는 이 소설로 나의 엄마를 떠올렸다지만, 엄마는 엄마의 엄마를 떠올렸다. 그렇게 엄마는 일직선상에 놓여 서로가 서로를 바라보고 있는 관계인 것이다. 나는 우리 엄마에게 한없는 미안함과 고마움을, 또 엄마는 엄마의 엄마에게 그 마음을 느끼며 눈물을 흘리신다. 엄마를 그 누구에게도 부탁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늦어버리지 않게, 이 세상 모든 자식들의 원죄가 되지 않게, 말없이 꼭 안아주며 “엄마를 사랑해”라고 책의 제목을 바꾸고야 말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