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치는 여자 - 푸른 파도 위에서 부르는 사랑 노래
김상옥 지음 / 창해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푸른 파도 위에 부르는 사랑 노래라.

 

늘, 바다에 가면 노래소리가 들린다고 생각했다. 단순히 파도소리 만의 감정이 아니다.

가장 깊은 곳과 가장 넓은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때로는 미치도록 푸르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극단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바다'에 매료되어서 좋아하는 노래가 들려왔다.

그 느낌을 사랑하기 때문에, 특히나 '사랑'을 아는 사람들은 바다를 찾는다.

여기, 바다 앞에서 낚시를 하다가 우연히 만난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있다.

무덤덤한 낚시를 하는 유은서와 그녀를 보자마자 잊지 못한 하윤이 있다.

하윤이 끌렸던 유은서는 진도북춤을 하는 사연많은 하나의 또 다른 상처다.

인간은 서로의 상처를 감싸않으면서 더욱 더 애절하게 사랑을 찾는다.

그런 감정들을 김상옥 님의 오랜만에 등장한 소설 <북치는 여자>에서 만날 수 있었다.

왜, 그녀는 북을 치고, 낚시를 즐기는 것일까? 그것도 잡은 고기를 놓아주면서 말이다.

북과 낚시 그리고 푸른 바다가 뭔가 하나의 여운으로 남게 만드는 소설이다.

내리치는 두드림은 곧 푸른 물결을 만들 수 있고, 그것이 흩어져 상처가 될 수 있다.

과감하게 흩어진 상처들은 그물에 걸려 꿈틀거려도 본다.

북치는 여자, 은서는 그 꿈틀거림을 시도했던 것일까? 그래서 자신이 낚아버린 물고기들마져도 애절하게 대하는 것일까?

 '바다' 나 '물'과 관련된 소재들은 주로 묵직한 주제들을 많이 다룬다. '타이타닉'처럼 어쩐지 물속에 모든것을 가라앉게 해버릴 수도 있고

'파이이야기'처럼 혼자됨과 쓸쓸히 싸워야 하는 외로움이 있기도 하고, '마린보이'처럼 서로 가엾은 상황들이 자꾸만 발생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여러가지 상황, 특히 가족의 문제로 아픈 과거를 지닌 그녀의 감정이 '바다'와 걸맞는다.

 

그런 그녀에게 하윤이 있다는 것은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사랑이 언제나 그렇듯, 상처와 치유가 반복되고, 남자와 여자가 하나가 된다.

그렇게 둘의 사랑이 무르익으면서 서로가 서로를 감싸안는 모습은 참 보기가 좋았다.

그들이 외친것 처럼 '슬프고 아팠던 기억은 모두 모두 물러가버렸다'가 이들에게도 일어났던 것 처럼 또다른 상처받은 영혼들을 치유해줄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소설은 언제나 환영만을 제시하지 않고, 이렇게 우리 일상 가까이 다가와 같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좋다.

 

글은 참 읽기 쉽다. 사실 이분의 유명한 다른 소설을 읽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작가가 어떻다, 저렇다 하는 둥 말을 전할 수 없음이 얕은 지식이다 싶지만,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가다보니 어느 순간 마지막 장이었다.

그만큼 복잡하지 않으니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소설이라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곧 있으면 봄이오니, 사랑 소설이 참 포근하다. 이 책을 한 권들고 봄바다를 보러 가본다면, 결국 고독하기 혼자 걸어왔던 자신의 길들을 닦아줄 누군가를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하게 될 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