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로지의 종말 - 인간은 똑똑한 기계를 원하지 않는다
마티아스 호르크스 지음, 배명자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여자치곤 기계와 꽤 친한 편이다. 특별히 기계를 낯설어 하지도 않고, 어려워하지는 않는다. 어쩌면 이것은 기계를 맹목적으로 믿지 않기 때문에 생길 수 있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컴퓨터, 핸드폰, MP3 등 나의 생활영역을 완벽하게 침투해 온 기계의 혁명들은 날로 빠르게 변신해가는데 그만큼 좋을때도 있고 나쁠때도 있다. 오히려 더 복잡한 기능들을 요구하는 경우가 숱하게 생겨서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들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그런 테크놀로지의 시대에 대한 인간의 자세에 대해 말하고 싶은 책이 <테크놀로지의 종말>이다. 저자 마티아스 호르크스는 유럽 최고의 미래학자이자 트랜드 전문가로써 장미빛 미래에 대한 꿈을 실현시켜주는 대신에 철저하게 테크놀로지가 주는 '진실'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것은 잘 생각해보면 80년대 90년대에 영화나 소설에서 꿈꿔왔던 자동차가 날라다니는 미래에 근접조차 못하고 있다는 현실로 말할 수 있다.  책에는 체펄린의 초호화 비행선 체펠린들을 소개하면서 인류의 오랜 열망 끝에 얻은 결과이지만 결국 더이상 그런 디자인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것, 아까도 말했던 운전이 필요 없는 전자동 자동차가 하늘을 날라다닌다는 것이 실현 불가능 하다는 것, 인간 수송기 세그웨이 등을 초반부터 제시하고 있다. '정신적 형이상학'이라는 표현으로 상상만으로 모든것이 해결되지 않는 다는 슬픈 '제약'을 이야기 한다.  특히 눈길을 끌었던 것은 '화상전화'이다. 분명 지금 우리 손에는 '화상전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손에 쥐고 있다. 원한다면 상대방과 얼굴을 마주보면서 인사를 할 수 있다. 불과 몇십년 전에는 이런 상상조차 엄청난 일이었을 것이다.  우리의 기술은 결국 해내었다. 하지만 단지 기술을 완성했단 것으로 '성공'이라고 불러야 할까. 분명 성공적인 기술 향상이지만 인간이 그것 자체를 매혹적으로 느끼면서 사랑해줄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은 엄연히 다른 문제이다.

 

나를 포함해서 여전히 사람들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아날로그적 향수'의 영역까지 침범해오는 테크놀로지에게 반감을 가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것은 '책'은 적어도 종이로 된 책으로 보고 싶다는 마음, 동물은 그냥 '생명체'를 가진 동물일때 사랑하고 싶다는 마음, 사진은 역시 필름으로 뽑아서 간직할때 비로소 맛이 느껴진다는 마음을 지키고 싶은 것이다. 저자도 그랬다. 책은 단순히 일개 매체가 아니라고, 또 우리는 무조건 큰 화면을 원하지도 않는다고. 이 책에는 공감가는 부분이 구석 구석 많아서 참으로 읽은 맛이 난다. 게다가 풍부한 상식까지 겸비해지고 있는 기분이 든다.

 

그렇다면 인간과 기계 사이에는 어떤 커뮤니케이션이 있었길래 기계가 그렇게 '오버'해서 변하고 있는 것일까. 그에 관해서는 2장에서 소개되어 있다.

스타니스와프 렘는 "기본적으로 모든 테크놀로지는 생존 싸움에서 살아남기 위해 주변 환경을 통제하려는 자연적인 욕구의 인공적인 연장이다." 라고 말했다. 어쩐지 이 말속에 뼈가 있고 핵심이 있으며 인간과 기술간의 미묘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관계속에서 우리는 더 이상한 미래를 맞이하려고 준비중이다. 미래에는 영화 '월E'에서 보여주었듯 너무나 편한 삶을 추구하고 있어 앉아있으면 무엇이든 해결되는 완전 뚱뚱한  모습으로 살게 될지도 모르고, 영원 불멸의 삶이 가능한가, 투명인간이 가능한가, 타임머신의 가능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를 계속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 제시된 예와 같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기술이야 말로 인간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분명 테크놀로지는 인간이 만든 문명이고 인간이 책임저야 할 매개물이기 때문에 인간을 더 인간답게, 더불어 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어야만 '종말'을 맞이하지 않을 것이다. 참 괜찮은 책이라서  공대생들에게 읽히고 싶다고 살짝 생각해본다.  책의 구성과  짜임새도 좋고 나와있는 이야기나 그림들, 미래학자들의 이론들이 참 쓸모 있다. 이쪽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필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